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GS, 신성장동력 부재에 재계 순위 9위로 밀려...적극적 M&A 나설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보수적 인수합병(M&A) 전략과 신사업 발굴 부진에 GS그룹의 재계 순위가 한 단계 하락했다. 한때 재계 7위를 놓고 경쟁하던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을 품고 치고 나가는 사이 GS는 순위가 8위에서 9위까지 하락했다.

10대 그룹 가운데 여전히 뚜렷한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GS그룹의 향후 M&A행보가 좀더 적극적으로 바뀔지 주목된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와 재계에 따르면, GS그룹은 10대그룹 중 유일하게 재계 순위가 한 단계 하락했다. 지난 2023년 말 기준 GS그룹만의 공정자산총액은 80조8200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원 가량 줄었다. 1.1조원 규모의 GS칼텍스 차입급 상환 영향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반면 HD현대는 지난 2022년말 자산 규모 80조6700억원에서 지난해 말 84조7900억원으로 GS를 제치고 재계 순위 8위에 올랐다. 신규 선박 수주에 따른 계약자산 증가 영향이다.

◆ 내수 중심 사업 한계...신성장 동력 지속 발굴

GS칼텍스와 GS건설, GS리테일 등 내수 중심 사업을 확대하고자 GS그룹은 현재 신성장동력을 지속 발굴중이다. 지난 10여년간 인수합병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으나 확실한 성공 사례는 드물다.

뉴스핌

허태수 GS그룹 회장이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G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S그룹은 지난 2005년 1월, LG그룹에서 법적으로 계열분리된 이후 신성장동력 확보차원에서 줄기차게 M&A를 시도해왔다.

허창수 회장 재임시절이던 지난 2008년 대우조선을 시작으로 현대오일뱅크, 대한통운 등 인수전에서 유력한 원매자로 거론됐으나 모두 고배를 마시거나 중도 포기했다. 2012년엔 코웨이, 2015년엔 GS리테일을 중심으로 KT렌탈을 인수하려했으나 실패했다.

아시아나항공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자문단을 선정했으나 최종 입찰엔 참여하지 않았다. 2020년엔 GS건설이 두산인프라코어 인수를 검토하다 포기하기도 했다.

◆ 2021년 보톡스 업체 휴젤 인수...바이오사업 진출

2021년 국내 1위 보톡스 업체 휴젤을 1조7000억원에 인수하면서 바이오 산업에 진출했다. 이후 바이오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M&A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A를 통한 GS그룹의 신성장 동력 확보 찾기는 여전히 진행중인 상황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과거 GS그룹은 주요 인수합병 시장에서 단골 후보 였지만 확실한 성공사례가 없어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SK의 하이닉스, 포스코의 대우인터내셔널,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 사례와 비교된다"고 지적했다.

tac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