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재명, 전당대회 이어 시도당위원장 선출도 "권리당원 비중 강화" 시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도당위원장 선거에서 권리당원 비중 높이는 것 연구 중"

의장 선거엔 "첫 길이니 이슬에 젖고 풀잎에 다칠 수 있어"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원과 함께-민주당이 합니다’ 호남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5.18/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광주=뉴스1) 박종홍 강수련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8일 당원 중심의 정당을 재차 강조하면서 2년 뒤 지방선거 후보 선출에 당원 의사 반영 비중을 높일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후보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도당위원장을 선출할 때 대의원 비중을 낮추고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당내 이 대표의 영향력을 더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이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원과 함께, 민주당이 합니다' 호남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현역 의원, 당선인 다수와 주최 측 추산 800여명의 당원도 자리했다.

이 대표는 '지방선거 공천권이 사실상 지역위원장에게 있어서 당원과 괴리가 있는 듯하다'는 당원 질문에 "최고위원회에서 안 그래도 이 문제 때문에 고심과 논의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 기본적인 생각은 당을 더 당원 중심의 정당으로 바꿔가자는 것"이라며 "이번 지선에서 공천을 잘해야 한다. 공천에 해당 지역 당원, 주민, 주권자분들이 실제 참여해서 선택할 수 있게 해야 신나게 참여하겠다는 생각을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급적이면 시도당위원장들이 협의에 의해 (후보를) 선정하는 것보다는 당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선거를 통해서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개인적 소망으로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선은 광역단체장 외에는 원칙적으로 시도당위원장이 기초위원, 광역위원, 기초단체장을 공천하다 보니 권한이 상당히 크다"며 "당 내부적으로 시도당위원장 선거에서 권리당원들의 비중을 높이는 것을 연구 중"이라고 답했다. "일단은 시도당위원장을 최대한 민주적으로 구성하는 것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시도당위원장 선거의 경우 현재 대의원과 권리당원 (비율이) 50 대 50으로 돼 있는데 권리당원 수가 시도당마다 차이가 있어 천차만별"이라며 "대의원의 한 표가 권리당원의 몇 배 이상 초과하지 않는 안을 이미 준비해 놓았다. 최고위에서 충분히 논의했고 통과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민주당은 전당대회에서 60대 1이던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 비중을 20대 1 미만으로 줄이도록 당헌을 개정한 바 있다. 이날 이 대표의 발언은 당대표·최고위원 뿐만 아니라 시도당위원장 선출에 있어서도 권리당원 표 비중을 높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당시 해당 당헌 개정은 강성 권리당원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이 대표와 친명(친이재명)계의 당내 장악력을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됐는데, 이번 시도당위원장 선출 방식 개선 발언도 비슷한 의도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총선 직후 진행한 당원과의 대화에선 당원 중심의 정당을 강조하며 당원을 두 배로 늘리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최근 강성당원의 지지를 받은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우원식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것에 대해선 "실질적으로 정당이 경쟁하는 민주적 체제의 나라 중에서 당원이 제일 많은 당이 우리 당이다. (그래서) 이때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현상에 맞닥뜨리게 된다"며 "그게 이번 의장 선거에서 일부 나타난 것이라 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공화국 가치를 민주당이 당원 중심의 정당을 통해 증명해 나가는 첫 길을 열고 있다"며 "첫 길을 가다 보니 이슬에도 많이 젖고 스치는 풀잎에 다치기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추 당선인을 지지한 당원들의 실망감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 대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정신 헌법 수록에 대해선 "원포인트 개헌을 해내자"고 했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선 "이미 통과됐는데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법률이라 저희가 1순위로 처리할 목표를 가지는 법안"이라고 말했다.

지방소멸 위기 해결 방안에 대해선 "재생에너지 산업을 결합한 햇빛연금, 바람연금 방식의 농어촌 기본소득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네이버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선 "국익 중심이어야 하는데 정부 대응은 한참 벗어나 있다"고 비판했다.

1096pag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