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제 22대 총선

총선 패배 한달 넘게 '책임론' 공방…친윤·친한 갈등에 사라진 '쇄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석열·한동훈 책임론 몸살…패배 분석 '총선백서' 논란

'관리형' 비대위에 당권 경쟁…韓 출마설 계파 갈등 심화

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철규 공동인재영입위원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인재영입위원회 국민인재 영입 환영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1.29/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이 총선 패배 한 달이 지나도록 쇄신은 커녕 '책임론' 공방만 이어가고 있다. 책임론의 이면에는 당권을 둘러싼 친윤(친윤석열)과 친한(친한동훈) 간 계파 갈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역대급 패배에도 제대로 된 반성이 이뤄지지 못하면서 여권의 위기는 계속되는 모습이다.

19일 여권에 따르면 책임론의 중심에는 '정권심판' 총선에 따른 윤석열 대통령과 지난 총선을 이끈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있다.

당초 여권에서는 이번 총선이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였던 만큼 패배의 책임을 두고 윤 대통령을 지목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윤 대통령은 이같은 여론을 의식한 듯 영수회담·기자회견 등을 진행하며 국정기조 변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해병대원 특검에 대한 거부권을 시사하고 김건희 여사 관련 수사팀을 대상으로 한 검찰 인사 등으로 책임론은 계속되는 상황이다.

지난 총선을 지휘한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책임론도 나온다. 총선 전략과 공천 등을 책임진 만큼 패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책임론은 총선 패배 원인을 분석하는 총선백서 특별위원회에서 불거졌다.

특위에서 '책임자 리스트'를 만들자는 주장이 나왔는데, 이는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됐다. 여기에 특위가 총선 패배 분석 설문조사에서 한 전 위원장이 선거 운동에서 내세운 '이조(이재명+조국)심판론'이나 '한동훈 원톱 선대위 체제'의 실효성을 묻는 질문도 논란이 됐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개인의 책임을 추궁하는 식으로 하지 말고 책임은 당대표가 사퇴한 것으로 정치적 책임은 봉합하자"고 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조정훈 특위위원장은 "특정인을 공격할 의도는 없지만 책임은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지난 총선 당시 사무총장을 맡으며 한 전 위원장과 함께 한 장동혁 의원은 "한 전 위원장에게 (유세를) 와달라고 했던 분들이 지금 와서 '그것 때문에 졌다'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장 의원은 당내 친한계 의원으로 분류된다.

총선 당시 '이조심판특위' 위원장을 맡은 신진호 전 의원도 친윤 이철규 의원이 조 위원장을 천거했다고 주장하며 "백서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정당성을 상실했다. 편파적이다"라고 비판했다.

이같은 갈등 이면에 차기 당권을 둘러싼 계파 간 경쟁이 숨어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은 전당대회를 위한 '관리형' 비대위를 출범하고 전대 준비에 돌입했다.

특히 최근 한 전 위원장의 당권 경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친윤계와 비윤계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친윤계는 조기 전대를 주장하는데 '한동훈 책임론'이 희석되기 전 전대를 통해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자체를 봉쇄하려는 의도란 분석이다. 반면 비윤계는 '당원 100%' 전대룰 변경을 주장하며 이를 위한 논의 등을 위해 전대를 다소 늦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이같은 신경전 속 당 쇄신이나 반성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이다. 특히 총선 패배를 분석한 총선백서 특위가 논란이 되면서 이들이 발간할 백서 역시 쇄신보단 당내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벌써부터 한 전 위원장의 지지자들은 총선백서특위가 한동훈 책임론을 몰고 간다며 자체 '국민 백서'를 만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당이 반성보다는 당권을 위한 계파 갈등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비치는 점은 여권에 더욱 우려스러운 지점으로 꼽힌다.

여권 관계자는 "처절한 반성도 모자란 상황에서 친윤, 친한으로 나뉘어 책임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민들이 어떻게 보겠느냐"며 "반성도 못하는 정당"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