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5·18 44주년 전야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자 금남로로" 3000여 명 44년 전 민주평화대행진 재현

광주시민·참사 유족·여성·장애인 각계 '광주선언2024' 연대

항쟁정신, 총체극으로…세월호·이태원 유족 품은 오월어매

"헌법 전문 수록" "역사 왜곡 근절" "항쟁 정신 계승" 다짐

뉴시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7일 오후 전남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민주 광주광역시당 당직자들이 44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민주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 2024.05.17. hyein0342@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시스] 변재훈 이영주 김혜인 기자 = 44년 전 5·18민주화운동을 재현, 숭고한 항쟁 의의와 대동정신을 되새기는 전야행사가 17일 금남로 일대에서 펼쳐졌다.

제44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이날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을 주제로 44주년 5·18 전야 행사를 열었다.

행사는 전야제의 전통인 '민주평화대행진'으로 시작됐다. 1980년 5월 14일 당시 신군부의 계엄령 선포에 맞서 전남대학교 정문부터 시작된 금남로 진출 투쟁이 다시 펼쳐졌다.

대행진 참가자 3000여 명이 오후 5시부터 두 갈래로 나뉘어 광주공원(시민군 결성지)과 북동성당(옛 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출발, 금남로 4가역 교차로에서 만나 5·18민주광장 앞까지 1㎞가량 행진했다.

행렬에는 5·18희생자 가족, 민족민주열사 가족, 국가폭력 피해자 가족(제주 4·3, 여순 사건, 대구2·28항쟁, 부마항쟁),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가족, 사회적 참사(세월호·이태원) 유족, 시민사회, 노동·농민단체, 학생 등 각계각층이 참여했다.

각기 '모두의 길', '하나의 길'로 이름 붙여진 행진 경로마다 참가 시민들이 가득 찼다. 참가자 행렬은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들고 옛 전남도청으로 나아갔다. 항쟁을 직접 경험 못한 미래세대도 숭고한 항쟁 정신을 이어받겠다며 행렬을 뒤따랐다.

뉴시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7일 오후 전남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시민들이 44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민주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 2024.05.17. hyein0342@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화대행진이 금남로에 다다르자 '광주선언 2024'로 본 행사 서막이 올랐다. 오월 광주시민과 사회적 참사 유족, 여성·교육·장애·노동·해외통일운동 각 분야 대표 인사들이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함께 오월정신 실현을 선언했다.

오월의 상주인 5·18 단체는 진상 규명을 '역사적 사명'으로 삼겠다고 다짐했다. 참사 유족들은 국가가 보듬지 못한 아픔을 호소하며 재발을 막고자 모든 역사적 사건의 진실 규명에 연대하기로 했다.

여성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은 폭력·불평등을 근본 개선해야 한다고 외쳤다. 교육계도 대동정신·역사 의식 계승에 힘쓰겠다고 했다. 오월정신으로 분단과 전쟁을 극복, 통일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선언문에 담겼다

이어 총체극 '언젠가 봄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세 개의 무대에서 펼쳐졌다. 금남로 자체가 거대한 무대처럼 꾸며져 몰입감과 현장감을 더했다.

총체극은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오월하다 등 총 3부로 꾸며졌다.

랩, 국악·서양음악, 현대 무용, 씻김굿, 판소리, 합창, 민중가요와 각국의 저항 음악 등 다양한 공연 예술이 한데 어우러지며 오월 광주의 억눌린 설움을 달랬다. 유족들의 응어리, 불의에 저항한 항쟁 정신, 민주주의·평화에 대한 메시지도 다채롭게 전달했다.

뉴시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전야제에서 5·18희생자유족인 오월어머니회가 민주평화대행진을 펼치고 있다. 2023.05.17. hyein0342@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오월어머니들은 맞은 편 무대에 선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족들을 바라보며 '오월, 기다림'을 합창했다.

흰 상의 차림의 오월 어머니들은 '오월 하얗게 그리워한 너를 기다릴게' '오월 푸르게 살아오는 너를 기다릴게'라는 곡의 가삿말이 적힌 현수막을 든 채 담담하게 노래했다.

국가 폭력에 자식 잃은 슬픔을 가슴에 묻고 사는 어머니들이 국가권력의 방치와 은폐로 가족을 잃은 한을 안은 참사 유족들을 보듬으며 치유한다는 의미다.

총체극에는 전문배우 뿐만 아니라, 앞서 오전부터 펼쳐진 '해방 광주' 시민 난장에서 현장 참가 신청을 받은 시민배우 100여 명이 참여, '모두의 오월' 의미를 더했다.

양재혁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은 인사말에서 "아직도 진상 규명이 현재 진행형이듯, 미완 과제들이 쌓여있다. 5·18 전국화와 세계화를 향해 갈 길이 아직 멀다"며 "이 땅에 자유·민주주의를 뿌리내리고 정의·인권을 바로 세우고자 싸우다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고귀한 정신이 영원히 빛나고 높이 평가 받도록 산적한 과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살아남은 모두의 책무라 믿는다"고 역설했다.

1988년 이래 줄곧 민간 주도로 펼쳐진 전야제 역사상 최초로 강기정 광주시장도 무대에 올라 인사말을 했다.

강 시장은 "44년 전 이곳에서 광주시민들은 서로 살아있는지, 이웃이 안녕한 지를 묻기 위해 매일 모였다. 제주 4·3 가족부터 세월호 참사 유족까지 모인 오늘 우리는 서로 안부를 묻고 민주주의가 안녕한 지, 안전한 지를 물어달라"고 말했다.

뉴시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 44주기 전야제 오월부스가 마련된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오월정신을 상징하는 주먹밥 만들기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24.05.17. hyein0342@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민들은 오월정신 가치를 헌법에 새기고 항쟁사 왜곡 근절을 한목소리로 염원했다.

김진결(20)씨는 "인터넷 게시글·댓글창에서 지역 감정을 5·18과 연결 지어 비난·폄훼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민주화운동이 조롱거리로 전락해선 안된다. 왜곡을 막기 위해서라도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민 강종윤(48·여)씨는 "국가폭력에 희생 당한 이들을 폭도로 규정, 왜곡하는 이들이 아직 많다. 후세가 올바른 민주주의와 정의를 정립하기 위해서라도 역사 왜곡은 뿌리 뽑아야 한다"고 했다.

미래세대는 올바른 역사 의식 함양을 통해 5·18 정신을 온전히 계승하겠다고 다짐했다.

경기 수원에서 온 중학생 강유건(15)군은 "교과서나 수업으로 배운 5·18 항쟁의 현장에 와서 경험하니 가슴이 뭉클하다. 항쟁 역사를 열심히 공부해 왜곡·폄훼하는 친구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전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는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주관으로 5·18 민중항쟁 제44주년 추모제가 열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leeyj2578@newsis.com, hyein0342@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