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할머니 맛 젤리" "강이 똥물"... 300만 유튜버 지역 비하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북 영양군 방문 비하 발언 논란
"선 지켜야" "무례" 비판 이어져
군 "젊은이들 많이 알게 돼" 반응
한국일보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에 11일 올라온 영상에서 개그맨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가 경북 영양의 한 제과점에 방문해 햄버거빵을 먹고 있다.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독자 317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이 경북 영양군을 방문했다가 지역 비하 논란에 휩싸였다. 제과점이나 식당의 상호명을 노출한 채 일방적인 비난 발언을 이어갔다는 지적이다.

피식대학은 11일 개그맨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가 경북 영양군을 여행하며 촬영한 '경상도에서 가장 작은 도시 영양에 왔쓰유예'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는 이들이 영양군에 위치한 제과점, 식당, 특산물 판매장 등을 돌아다니며 지역 음식 등을 평가하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영상은 17일 오전 약 198만 회를 기록했다.

먼저 김민수는 영양군에 도착하자마자 '청기·상청·진보·입암'이라는 낯선 지명이 적힌 표지판을 보고 "이런 지역 들어본 적 있냐. 여기 중국 아니냐"고 말했다. 지방 소도시임을 설명하면서 "진짜 인구 1만5,000명 맞아요? 1,500명 아니냐. 너무 많게 느껴진다"고 비하했다.

지인에게 맛집을 추천받은 세 사람은 시내의 한 제과점에 들어갔다. 이들은 '햄버거빵'을 먹으며 "한 입 먹었는데 음식에서 사연이 느껴진다. 롯데리아가 없다고 하는데 젊은 애들이 햄버거를 먹고 싶으면 이걸로 대신 먹는 거다" "서울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영양까지 와서 먹을 음식은 아니다" "맛이 재밌다" 등 지역을 폄하하는 대화를 나눴다.
한국일보

개그맨 김민수가 유튜브 '피식대학' 영상에서 블루베리 홍삼 젤리를 먹고 있다.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식사를 하기 위해 한 백반집으로 이동했다. 영상에는 상호 이름이 노출된 메뉴판이 등장했고, 한 멤버는 "메뉴가 솔직히 특색이 없다"고 혹평했다. 이용주는 각종 산나물과 찌개 등 한 상 가득 차려진 음식을 먹으며 "내가 몇 숟가락 하자마자 이것만 매일 먹으면 아까 그 햄버거가 천상 꿀맛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식당을 나선 뒤 특산물을 판매하는 매장에 도착한 이들은 블루베리 홍삼 젤리와 막걸리 등을 구매했다. 이후 젤리를 맛보며 "할머니 맛이다. 충격적이다"라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인간적으로 (이 지역) 너무 재미가 없다" "강이 위에서 볼 때는 예뻤는데 밑에서 보니까 똥물이다" "공무원인데 여기 발령받으면… 여기까지 하겠다"는 등의 발언이 나왔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지역 비하라고 비판했다. 댓글창에는 "자기들 출신 지역에 대해 장난으로 얘기할 수 있다지만 본인 지역도 아니면서 비웃을 소재 찾으러 갔냐", "개그 채널이어도 선을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 누리꾼은 "아버지 고향이 영양이어서 같이 시청했는데 영양에 대해서 계속 안 좋게만 말한다고 슬퍼하셨다"고 적었다. 일부 구독자들은 실망감을 표하며 구독을 취소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일보

14일 경북 영양군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에서 홍보 담당 주무관들이 피식대학 영상을 보고 있다.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피식대학이 별로라던 영양군에서 가보면 좋은 곳'이라며 지역 명소를 추천하는 글도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 반발하는 누리꾼들이 영양 국제 밤하늘 보호공원, 맹동산 풍력발전단지, 죽파리 자작나무길 등을 언급하면서 스스로 지역 홍보에 나선 것이다.

영양군도 반응했다. 영양군 홍보 담당 주무관들은 피식대학 영상이 나온 뒤인 14일 영양군 공식 유튜브에 출연해 "우리가 진짜 영양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하나 하자. 피식대학에서 갔던 데 우리도 한번 가보자"고 말했다. 한 주무관은 "젊은이들이 영양을 몰랐는데 알게 됐다"고 말했고, 또 다른 주무관은 "우리가 이번에 다른 면도 있는 걸 보여주면 된다"며 통 큰 반응을 보였다.

김소희 기자 kimsh@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