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나경원, '한동훈 등판론'에 "결국 당원들이 판단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저출산·연금개혁' 세미나 주최…'스펙트럼 넓히기'

세미나에 황우여 등 지도부 참석…당내 관심 반영

"전당대회 룰, 당원들 생각 조금 더 많이 반영돼야"

아이뉴스24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당선인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4.05.16.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뉴스24 김보선 기자] 국민의힘 당권 예비 주자인 나경원 당선인이 16일 '한동훈 전당대회 등판론'에 대해 "결국 당원들이 판단하는 것"이라며 "누구의 출마가 맞다, 틀리다를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이날 국회에서 윤창현 의원, 인구기후내일(PACT)과 공동으로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를 주최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출마를 원하는 분들은 누구나 출마하는 게 맞다"면서 "다만 그런 것이 결국 당원들이 판단하는 것 아닌가. 전당대회라는 게 어떤 분이 당을 끌어가는 게 맞냐 하는 것에 대한 논의의 장 아닌가"라고 했다.

여권에서는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조만간 다시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한동훈 등판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전당대회 룰'에 대해선 "예전 박근혜 당 대표 시절 17대에서 처음 당 대표 선거에 민심을 도입하자고 했다. 당심과 민심이 너무 다르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였다"며 "공직 후보자는 밖에서 하는 선거니까 (민심을) 좀 더 높게 반영한다면, 당 대표나 최고위원은 그것보다 당원 생각이 조금 더 많이 가야 하지 않나 정도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서는 "10%, 20%, 30%에 대해 제가 얘기할 것은 아니다"라며 "비대위가 실질적으로 당 미래에 대해 가장 많은 고민을 하고 있으니 비대위를 중심으로 건설적인 논의가 되고 충분히 좋은 결론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아이뉴스24

나경원(가운데) 국민의힘 국회의원 당선인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4.05.16.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유력 당권주자로 꼽히는 나 당선인도 이날 세미나를 통해 정책 현안에 초점을 둔 정책적 스펙트럼 넓히기에 나섰다는 평가다. 이날 세미나에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여러 당선인이 참석해 당내 관심을 반영했다. 국민의힘도 저출생, 연금개혁 등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핵심 정책에 대해 정부여당으로서 주도권을 쥐고 방향성을 제시하겠다는 의지다.

나 당선인은 윤석열 정부 초대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정부는 기존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격상한 '저출생대응기획부'를 출범,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맡아 교육·노동·복지를 아우르는 정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여기에 더해 대통령실 내 전담 조직인 '저출생수석실' 설치도 지시한 상태다.

그는 "제가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을 때보다 지금은 더 뜨거운 관심이고, 합계출산율이 나올 때마다 우리 가슴을 덜컥하게 한다"며 "저출산 문제는 하나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결혼할 수 있는 일자리, 주거, 보육, 교육을 사이클별로 준비해야 하고 또 한 축으로는 이민, 결혼 형태 등으로까지 다양한 툴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금개혁에 대해서는 "연금개혁에 대해 주의할 점은 미래세대가 불신이 크다는 점"이라며 "미래세대는 우리가 낸 돈으로 기성세대를 부양하고 내 뒷세대는 없는 것 아닌가하는 불신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출산과 연금을 연계해 지금 둘째를 낳으면 1년 '출산 크레딧'을 줘 1년간 연금을 납부한 걸로 해주는데, 이것만으로는 충분한 연계가 되지 않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선 기자(sonntag@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