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대기업 총수된 하이브 방시혁, 주식부자 6위에 랭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시혁, 14일 기준 주식가치 2조5447억원

더팩트

하이브그룹 방시혁 이사회 의장의 주식재산 순위가 국내 그룹 총수 중 6위에 올랐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장병문 기자] 하이브그룹 방시혁 이사회 의장의 주식재산 순위가 국내 그룹 총수 중 6위에 올랐다. 하이브그룹은 방탄소년단 소속사 빅히트뮤직을 비롯해 최근 갈등을 겪고 있는 민희진 대표의 어도어까지 15개 회사가 소속돼 있다. 방시혁 의장은 4대 그룹 총수인 SK 최태원 회장(8위)과 LG 구광모 회장(10위)보다 앞섰다. 올해 그룹 총수로 새로 등극한 동원그룹 김남정 회장도 주식평가액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소노인터내셔널 박춘희 명예회장은 4번째로 여성 총수 지위에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5월 신규 및 재지정된 대기업집단 그룹 총수 주식재산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 대상은 올해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신규 및 재지정한 대기업집단 7곳이다. 그룹 총수가 새로 변경된 동원그룹도 조사 대상에 포함했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계열사(상장사와 비상장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현황도 포함했다. 계열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주식을 보유했을 경우 해당 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한 경우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우선주도 이번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주식평가액은 이달 14일 기준으로 평가했다.

공정위가 올해 5월 지정한 자산총액 5조원이 넘는 대기업집단은 88곳이었다. 주식재산 1위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차지했다. 이재용 회장은 이달 14일 기준 15조9016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11조440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3위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4조9302억원) 4위 현대차 정의선 회장(4조160억원) 5위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2조6216억원) 순이다.

6번째 주식부자는 하이브그룹 방시혁 이사회 의장이다. 하이브그룹은 이버에 신규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하이브그룹은 공시 의무와 함께 상호출자 제한, 순환출자 금지 등의 추가적인 규제가 적용된다.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 주식을 1315만1394주를 보유하고 있고, 이달 14일 종가 19만3500원으로 곱한 주식평가액만 해도 2조5447억원으로 평가됐다. 올해 방 의장의 주식재산은 1월 11일 기준 3조3667억원까지 오른 적도 있었다.

방시혁 의장에 이어 7위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2조4547억원) 8위 SK 최태원 회장(2조1152억원) 9위 크래프톤 장병규 의장(2조233억원) 10위 LG 구광모 회장(2조202억원) 11위 CJ 이재현 회장(1조891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방시혁 의장은 주식재산만 놓고 보면 4대 그룹 총수인 SK 최태원 회장과 LG 구광모 회장보다 순위가 앞섰다.

더팩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원그룹은 기존 김재철 명예회장에서 차남인 김남정 회장으로 총수가 변경됐다. 총수 직위를 새로 얻은 김남정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이달 14일 기준 1조6624억원으로 1조 클럽에 합류했다. 김남정 회장은 동원산업 주식을 60%에 가까운 2156만9875주 보유 중인데, 이달 14일 기준 종가 3만7200원으로 곱한 주식평가액만 8023억원을 넘었다. 여기에 김남정 회장은 동원산업을 통해 다시 동원시스템과 동원F&B 주식도 각각 70% 넘게 보유 중이다. 동원시스템즈와 동원F&B에서 보유한 주식에 대한 김남정 회장의 주식가치만 해도 8600억원 이상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조6000억원이 넘는 주식재산을 보유한 김남정 회장의 그룹 총수 주식재산 순위는 12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13위 HD현대 정몽준 아사재단 이사장(1조4224억원) 14위 넷마블 방준혁 의장(1조3038억원) 15위 네이버 이해진 GIO(1조1303억원)가 주식재산 1조 클럽에 포함됐다.

그룹 총수 주식재산 1조 클럽과 별개로 올해 그룹 총수로 지정된 현대해상 정몽윤 회장은 이달 14일 기준 6726억원이 넘는 주식평가액을 보였다. 현대해상은 과거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가 탈락한 후 올해 재지정됐다.

카지노와 관광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파라다이스 그룹도 이번에 새로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파라다이스 그룹 총수는 전필립 회장이다. 전 회장의 이달 14일 주식평가액은 3578억원으로 평가됐다. 전필립 회장은 파라다이스 주식을 41만5580주를 직접 쥐고 있는데, 이달 14일 종가 1만5020원으로 계산한 주식평가액은 62억원 수준에 그쳤다. 여기에 전 회장은 비상장사인 파라다이스글로벌 주식을 67% 넘게 갖고 있는데, 파라다이스글로벌은 다시 파라라이스 주식을 37%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파라다이스글로벌을 통해 보유한 전필립 회장의 파라다이스 주식가치만 3516억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원익그룹 이용한 회장은 원익QnC(1757억원) 원익홀딩스(501억원) 원익(276억원) 원익큐브(8억원) 4곳에서 모두 2544억원이 넘는 주식가치를 보였다. 영원그룹 성기학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2053억원으로 평가됐다. 성 회장 주식재산의 상당수는 영원무역홀딩스 주식에서 나왔다.

올해 지정된 대기업집단 88곳 중 최연소 그룹 총수는 대신증권 양홍석 부회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양 부회장은 1981년생으로 올해 43세다. MZ세대로는 유일하게 대기업집단 동일인에 이름을 올렸다. 양 부회장의 주식가치는 이달 14일 기준 835억원으로 1000억원에는 다소 못 미쳤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그룹 총수 주식부자 상위 10명 중 절반은 자신이 직접 그룹을 일군 창업자에 속하는 자수성가 유형이었다"며 "향후에도 새로운 비즈니스를 통해 자수성가형 주식부자가 더 많이 탄생될 수 있는 경영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jangbm@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