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국민 체감경기고통지수,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개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협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 추이' 분석
지표는 개선…고용 질·고물가 등 문제 여전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고통지수가 코로나19 이전 시기 수준으로 개선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16일 발표한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 추이 및 특징’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는 12.5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12.9)~2019년(12.0)과 비슷한 수준이고, 2022년(15.8)보다는 호전됐다.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합산해 산출한 수치다. 숫자가 높을수록 국민들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는 의미다.

한경협은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가 개선된 주요 원인으로 체감실업률 하락을 꼽았다.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증가한 이후 지난해 9.0%까지 떨어졌다.

지표는 개선됐지만, 고용의 질은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2051만1000명으로, 5년 전 2066만6000명보다 0.8% 감소했다.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같은 기간 493만6000명에서 605만6000명으로 22.7% 증가했다.

주 36시간 미만 시간제근로자 중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원하는 청년들도 늘었다. 2023년 기준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70만6000명으로, 2018년(59만 명) 대비 19.7% 증가했다. 부업 근로자는 48만1000명으로, 5년간 24.9% 늘었다.

체감물가상승률은 2022년 5.2%까지 급등한 후 2023년 3.5%로 둔화했다. 다만 2018년부터 2020년 상승률(0~1%대)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국민들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외식물가와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의 상승세가 가팔라 국민들의 체감하는 물가 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지출목적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의류·신발(6.7%) △음식·숙박(6.0%) △기타 상품 및 서비스(5.8%) △식료품(5.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5.4%) 등의 부문에서 5%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15~69세 국민들의 지출목적별 소비지출 비중은 △음식·숙박(15.9%) △식료품(13.2%) △주택·수도·전기·연료(11.4%) 등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 주요 품목의 물가 상승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규제 혁파, 고용 경직성 해소, 세제 지원 등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생활물가 안정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투데이/김민서 기자 (viajeporlun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