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이슈 원내대표 이모저모

원내대표·의장·당대표도…경선 사라진 야당 ‘낙점·옹립정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가 13일 오전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을 예방해 박찬대 원내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대, 추대, 또다시 추대.

4·10 총선에서 171석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에서 ‘당내 경쟁’이 사라지고 있다.

국회의장 경선 후보로 나섰던 조정식·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지난 12일 약속이라도 한 듯 물러났다. 우원식 의원이 완주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이미 당내에선 “명심(明心)이 추 당선인으로 기울었다”는 게 정설이다.

후보 등록 때만 해도 4파전이던 구도는 순식간에 허물어졌다. 친명 핵심인 박찬대 원내대표는 조정식(5일), 정성호(6일) 의원을 찾아가 사실상 후보 사퇴를 요구했다. “제가 원내대표에 당선됐는데, 국회의장까지 친명이면 ‘친명 일색’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박 원내대표의 설득을 놓고 “이재명 대표의 의중이 실린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용민(8일)·김민석(12일) 의원 등 다른 친명계도 SNS에서 추 당선인 공개 지지에 나섰고, 추 당선인도 공공연히 ‘명심’을 내세우고 있다. 그는 13일 김어준씨 유튜브에 출연해 “이 대표가 ‘순리대로 자연스럽게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공연히 과열이 되다 보니 우려가 큰 것 같다’는 말씀을 주셨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가 다른 후보에게는 그런 말을 안 했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원내대표 선출 과정도 비슷했다. 박찬대 의원이 출마를 공식화하자 서영교·김민석·박주민·한병도 의원 등이 모두 출마 의사를 접었다. 친명 강경파들은 “총선 민심을 반영하는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사람이 원내대표를 해야 한다”(지난달 26일, 민형배 의원)고 분위기를 잡았고, 이 대표도 “의원은 독립된 헌법 기관이라 할지라도 민주당이라는 정치 결사체의 한 부분”이라고 거들었다.

결국 박 원내대표는 지난 3일 당선자 총회에서 찬반 투표를 통해 선출됐다. 민주당 원내대표가 추대로 뽑힌 건 2005년 1월 정세균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추대 이후 19년 만이다. 다만 정세균 의원은 국가보안법 폐지 법안 통과 실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천정배 원내대표를 대신해 총대를 멘 성격이 짙었다.

민주당의 추대 정치는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절정에 달할 전망이다. 이 대표의 연임 도전이 굳어지면서다. 이미 친명계 인사들은 “연임 추대 분위기 조성에 총대를 멜 것”(11일 정청래)이라는 등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치료차 휴가 중인 이 대표는 15일 복귀한다. 당 관계자는 “의장 경선과 본인 연임 문제에 대해 이 대표가 메시지를 낼 수도 있다”고 전했다.

야권 내부에도 “강성 팬덤정치에 건전한 경쟁과 비판이 사라졌다”는 자조가 있지만 공개적으로 나서는 이는 없다. 실제 친명 커뮤니티에서는 이번 의장 경선을 앞두고 추 당선인을 일사불란하게 지원 사격했다. 한 민주당 수도권 의원은 “강성 당원들은 이 대표 연임 촉구 서명운동도 하는데, 반대하면 문자폭탄을 각오해야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후보 사퇴한 조정식 의원도 13일 이 대표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에 “저의 충심을 헤아려 달라”는 글을 올렸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당선인들이 22대 국회 개원 전부터 연일 거리로 나서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민주당 초선 당선인 20여 명은 13일 오후 1시반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채 해병 특검은 국민의 준엄한 명령이다. 윤 대통령은 즉각 수용하라”고 외쳤다. 이날 회견장엔 추미애 당선인도 찾아 “힘내 달라”고 격려했다. 조국혁신당은 이날 오후 독도를 직접 방문해 ‘라인야후 사태’를 지적하며 장외 여론전을 펼쳤다.

정용환·성지원·김정재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