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요즘 ‘빚투 열기’ 뜨겁다는 이 종목…실적 개선 기대감 확산 ‘항공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에어부산 항공기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와 항공유 가격 하락으로 ‘항공주’에 대한 실적 개선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빚투’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11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9일 기준 최근 1개월 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용잔고 증가율이 가장 큰 종목은 에어부산으로 나왔다.

신용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이다. 신용잔고가 늘었다는 것은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증가했다는 뜻이다.

에어부산은 한 달 사이 신용잔고가 2800만원에서 8억9600만원으로 3100% 중가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전체 신용잔고는 10조2154억원에서 9조9810억원으로 2% 감소했다.

티웨이항공 신용잔고도 6100만원에서 5억7300만원으로 839% 증가했다. 아시아나항공 신용잔고는 18억8500만원에서 27억6600만원으로 47% 늘었다. 진에어와 제주항공도 각각 26%, 23% 증가했다.

앞서 항공주는 유가와 환율 상승으로 실적 악화가 우려됐다. 하지만 항공유 가격이 오히려 하락하고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졌고 투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

항공사들은 1분기 우수한 성적표로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매출액 5392억원, 영업이익 751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진에어도 같은 기간 매출액 4303억원, 영업이익 985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티웨이항공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올렸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에 따른 경쟁 제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4개 유럽 여객 노선의 운수권을 티웨이항공에 이전하기로 하면서 매수세가 더욱 몰렸다.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주가 포함된 KRX운송지수는 10일 기준 한 달 새 6.6% 올라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0.8%)을 8배 이상 웃돌았다.

여행 수요 증가에 힘입어 항공업종의 실적 개선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나오고 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보복 여행 수요가 정점을 통과 중이어서 중장기 여행 수요가 둔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항공사들이 2분기 비수기에 진입하면서 주가가 당분한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