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황정민의 ‘맥베스’ 현대적인 미장센의 정통 고전극…7월 13일 국립극장 개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가을]

[스포츠W 임가을 기자] 10일 오후 서울 중구 소재의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연극 ‘맥베스’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자리에는 연출과 대본을 맡은 양정웅과 ‘맥베스’ 역의 황정민, ‘레이디 멕베스’ 역의 김소진, ‘뱅코우’ 역의 송일국이 참석했다.

양정웅 연출은 이번 작품에 대해 “’맥베스’는 20년만에 새로 도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2004년에는 원작보다는 제 개인적인 재해석을 가미하고 동양적인 모습으로 시도했는데 이번에는 정통에 가깝게 표현했다. 셰익스피어의 아름다운 대사와 함축성을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현대적인 미장센으로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전했다.

스포츠W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새로 도전하는 ‘맥베스’에서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어떻게하면 맛을 흐트리지 않고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했고, 셰익스피어의 언어와 문학적 수사,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인간 본성에 대한 표현들을 잘 담아고 싶어서 공을 들였다.”고 전했다.

이번 작품의 무대는 무대미술 감독 여신동과 호흡을 맞췄다. 양정웅 연출은 “제 장점이라면 비주얼적으로 미장센을 언어 못지않게 심혈을 기울인다. 평소 존경하는 미술가인 여신동 감독과 만나서 시그니처가 될만한 시각적인 장면을 연구하고 있고, 장면 하나하나가 사진에 담아갈 수 있는 미장센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극 ‘맥베스’는 5주 동안 원캐스트로 공연을 꾸린다. 양정웅 연출은 주연 배우 캐스팅에 대해 “황정민 배우가 맥베스를 하고싶어하고, 가장 사랑하는 캐릭터라는 얘기를 듣고 최적이다. 잘 어울릴 것 같다고 생각했다. 또, 김소진 배우는 다른 작품 보면서 멋진 배우라고 생각했다. 우아하고 표현, 화술에 대한 묘미를 잘 살리는 배우라 좋아했고, 같이 작품해보고 싶었다. 송일국 배우는 샘컴퍼니 대표님이 추천해 주셨는데 듣는 순간 '주몽'의 이미지가 생각나면서 뱅코우라는 생각이 들었다. 올곧은 캐릭터와 잘 어울려서 단숨에 동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스포츠W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정민은 극 중 장차 왕이 되리라는 마녀의 예언을 듣고 덩컨 왕을 죽이고 스코틀랜드 왕이 되지만 왕위를 지키기 위해 많은 이들을 살해하는 과정에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며 스스로 파멸하는 인물 ‘맥베스’를 맡아 연기한다.

황정민은 ‘맥베스’에 대해 “구청장이었는데 대통령이 된다고해서 탐욕의 끝으로 다가가 결국 자신의 무덤을 파게 되는 인물”이라 비유해 웃음을 자아냈다.

“한 인간의 삶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하게 되는 인물인데 하면 할 수록 재밌다. 요즘에 나와도 이상하지 않을 얘기인데 몇백년 전 셰익스피어가 써서 관객들하고 소통 했다는걸 보면 신기하기도 하다. 아마 그래서 지금에 와서도 저희 예술인이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다.”

평소 황정민은 ‘맥베스’를 하고싶었던 작품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질문에 황정민은 “수많은 분들이 이 작품을 오마주했고, 다시 재창작해서 공연도 올린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보통 3~4시간 정도 분량인데 멕베스는 2시간이다. 다른 작품보다 공연 시간이 짧은데 이건 '글빨'이 굉장히 좋았다는거다. 그만큼 의미를 함축적으로 담은 작품이기 때문에 후대 사람들이 해석하고 공부할 거리가 많다. 그런 의미에서 맥베스를 해보고 싶었다.”고 전했다.

스포츠W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소진은 남편 맥베스가 왕위를 차지하도록 부추기는 ‘레이디 맥베스’ 역을 맡아 연기한다. 김소진은 본인이 맡은 캐릭터에 대해 “남편이 왕이 되기를 간절히 욕망하는 인물. 맥베스가 가진 욕망도 옆에서 같이 일깨우고 부추긴다.”고 설명했다.
“연습한지 2주 정도 됐다. 레이디 맥베스는 맥베스라는 인물이 비극적인 파멸로 이르게되는데 굉장히 큰 역량을 미치는 인물인 것 같다. 인간다움이라는 것을 저버리고 자신의 욕망을 쟁취하기 위해 행동해 나가는 강한 의지들, 그것으로부터 얻게되는 불안, 두려움, 죄책감과 같이 다양한 복잡한 감정의 변화를 관객분들이 잘 이해하고 공감하실 수 있도록 찾아서 그려보고 싶은 바램이다.”

송일국은 맥베스의 부관이자 동료로 마녀들에게 본인의 자손이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지만 맥베스의 욕망으로 인해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뱅코우’ 역으로 분했다. 송일국은 극 중 대사인 “고귀한 기품은 타고났고 절대 꺾이지 않을 기개를 지녔다. 용기를 행동으로 옮기는 지혜를 가졌다.”는 문장으로 캐릭터를 표현했다.

특히 송일국은 제작진이 가장 배역과의 일치율이 높은 배역으로 꼽기도 했다. 이에 대해 송일국은 “과찬이시다. 오히려 멋진 모습을 표현해야하는데 어떻게 할지 정말 고민이다. 일단 살부터 빼야할 것 같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스포츠W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맥베스’의 배우들은 무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황정민은 “타이틀롤을 맡는것 자체가 부담이 안된다면 거짓말이다. 하지만 연극이라는건 제 개인적으로 힐링이 되기도 한다. 저한테는 행복한 시간이다. 영화를 찍을 때도 물론 행복하지만 연극은 다른 결의 무언가다. 매회 공연마다 느낌이 다 다르고, 관객들과 소통하며 오롯이 배우로서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전도연이 ‘벚꽃동산’을 통해 27년 만에 연극에 복귀하는 등 스타 배우들도 무대를 다시 찾고 있다. 황정민은 “그분들도 느꼈을 거다. 드라마나 영화같은 경우는 감독의 예술 쪽에 가깝지만 연극은 배우의 예술이기도 하다. 막이 올라간 후부터 무대는 배우들이 어우러지는 공간이 되고, 관객들과 직접적으로 만나는 시간이 마련된다. 그래서 배우분들이 무대를 찾아 주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2010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막을 올린 ‘나는 너다’로 연극 데뷔한 송일국 역시 “이곳은 제가 첫 연극을 했던 장소다. 이 공간에 있었던 시기가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다”라며, “이 곳에 발을 디디는 것만으로도 설레이고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맥베스’와 동시기에 이호재, 전무송, 박정자, 손숙 등이 출연하는 연극 ‘햄릿’도 대학로에서 무대에 오른다. 황정민은 “저희에게는 공부가 되는 작품이다. 또, 관객분들이 볼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서 행복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고전극이 지닌 매력을 전했다.

“선배님들이 하는 고전극을 보고 자라면서 공부를 했고, 거기서 기본이라는 것을 먼저 알게 됐다. 그런데 요즘은 고전극을 극장에 많이 올리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가 하자, 관객들도 고전극을 재밌고 친숙하게 볼 수 있을 거라는 마음에서 고전극을 시작했다. 앞으로 현대극도 하겠지만 고전극을 계속해서 하고 싶다.”

한편, 샘컴퍼니의 6번째 연극 시리즈 ‘맥베스’는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오는 7월 13일부터 공연하고, 황정민, 김소진, 송일국, 송영창, 남윤호 등이 출연한다.[저작권자ⓒ 스포츠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