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물가와 GDP

'먹거리' 물가 가파르게 올랐다…상승률 OECD 3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과 등 과일·채소 중심 고물가, 유가도 불안

2년여 만에 먹거리 물가 OECD 평균 넘어서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주요 선진국 평균 수준을 2년여 만에 다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촉발한 인플레이션이 잦아들면서 정상 궤도에 들어선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과일·채소 중심으로 고물가가 계속된 탓으로 분석된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세는 다른 OECD 회원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가파른 모습이다. 올해 2월 기준 우리나라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아시아경제

경기도 성남 하나로마트 성남점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주로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식품 물가 외에도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유가 등이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는 하반기 물가가 하향 안정화하면서 올해 상승률이 2.6%로 수렴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안 요인이 많이 있고 여러 상황은 더 봐야 하겠지만 근원 물가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하반기 물가는 하향 안정화가 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최근의 고유가·강달러 현상은 충분히 예상하지 못했던 변수들"이라며 "국제유가 불안, 고환율이 장기화하면 2022년에 이은 2차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