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단독] 매뉴얼에 '기다림' 못 박은 국과수…세월호 법의학자들의 약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과수, 참사 당해에 희생자 관리 매뉴얼 발간

서문에 "아직도 당신을 기다린다"

법의학자들 "기억하는 것이 산 자의 예의"

JTBC

2014년 12월 발간된 국과수 대량재해 희생자관리 매뉴얼 '기다림과 위로' 서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월호 침몰로 수백 명 규모의 사상자가 발생하자 재난 희생자 확인팀(Disaster Victim Identification : DVI)을 꾸려 신원 확인에 나섰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2014년 12월, 그 경험과 노하우를 담은 희생자 관리 매뉴얼을 만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 책자에는 초대형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때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각종 지침이 담겨 있습니다.

JTBC

2014년 4월, 진도 팽목항에 설치된 임시 안치소.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과수 희생자 관리단, 내부 매뉴얼에 '기다림' 약속



눈길을 끄는 건 제목입니다. 매뉴얼 실물 책자의 표지엔 '기다림과 위로-더 아픈 이를 위해 기다립니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정부 기관이 내부용으로 만든 매뉴얼 제목으로 보기 상당히 독특합니다.

JTBC

2014년 12월 발간된 국과수 대량재해 희생자관리 매뉴얼 '기다림과 위로' 표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문은 더 그렇습니다. '기다림'이라는 제목의 서문 첫 문장은 이렇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거기 있었던 것을 압니다'. 이 서문은 참사 발생 3개월째 되는 달 진도에서 쓰였다고 합니다. 일부를 그대로 옮겨봅니다.

" 우리는 아직 당신이 거기에 있는 것을 압니다. 그러기에 마지막 한 사람까지 기다리겠습니다. 당신을 애타게 그리는 소중한 가족 품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멀지만 가까운 곳에 있을 것을 압니다. 우리는 아직도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JTBC

2014년 4월 진도 팽목항에서 가족들이 사망자 명단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팽목항의 법의학자들 "그땐 눈물도 사치"



침몰한 세월호에서 시신을 꺼내 수습하는 작업은 210일 동안 진행됐습니다. 이 기간 재난 희생자 확인팀에 모인 국과수 직원들과 대학 소속 법의학자들은 진도 팽목항 검안소에서 24시간 머물렀습니다. 시신이 언제 나올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JTBC

2014년 4월 진도 팽목항. 119 구조대원들이 세월호 침몰 사고로 숨진 희생자의 시신을 운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법치의학자로, 시신의 치아 특성을 분석해 신원을 확인하던 윤창륙 전 조선대 명예교수는 “40년 동안 각종 사건·사고 현장에서 7000구의 시신을 봐 왔지만 세월호 참사 때는 눈물조차 나오지 않을 만큼 참담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물에 오래 있어 훼손이 심한 시신이 많았습니다. 시료를 채취해 가까운 국과수 분원으로 보내 DNA를 분석했습니다. 지문ㆍ치아ㆍ유전자 중 하나만 일치하면 신원이 확인되는데, 미성년자인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은 지문 등록이 안 돼 있어 감식에 어려움이 컸다고 합니다.

JTBC

윤창륙 전 조선대 교수 (법치의학자). 〈사진=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고 부패한 냄새가 진동하는데도 자식의 얼굴에 볼을 맞대고 비비며 절규하는 모습을 처음 봤다”라고 했습니다.

당시 국과수 데이터베이스 실장이었던 임시근 성균관대 교수도 그랬습니다. 그는 참사 당시 시료 분석부터 세월호 선사 '청해진 해운'의 실소유주인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시신 최종 확인까지 도맡아 왔습니다. 임 교수는 “자녀의 시신을 찾았다고 좋아하는 부모들, 그 옆에 '우리 아이는 언제 나오냐'며 하염없이 기다리는 부모들을 옆에서 보는 것 자체가 상상 못 할 스트레스였다”라고 했습니다.

"세월호가 지겹다고요? 잊지 않는 게 산 자의 예의"



이들이 한목소리로 힘주어 말한 대목이 있습니다. "10년이 지났지만, 사건을 결코 잊을 수 없다"라며 "잊어서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임 교수는 "아직 5명의 신원을 확인하지 못했다. 언젠가 남쪽 바다, 예를 들어 일본 어디선가에서 뼈 한 조각이라도 나오면 반드시 확인해 돌려드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JTBC

임시근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 교수 (전 국과수 데이터베이스 실장). 〈사진=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교수은 10년째 카카오톡 프로필에 세월호 침몰 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는 "시신을 찾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져 유족들이 애태우던 시절, 전국 각지에서 추모객들이 방문했다. 대구에서 온 한 여고생이 검안소에 생필품을 기부한 뒤 울고 있길래 '아저씨가 어떻게든 가족 품으로 돌려줄 테니 울지 마라'고 다독였던 일이 기억난다"라고 했습니다.

JTBC

윤창륙 전 조선대 치과대학 법의학치과교실 교수가 참사 당시 한 추모객 여고생에게 받은 편지. 윤 교수는 10년 째 이 편지를 카카오톡 프로필에 올려놓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교수는 "유족들에 대한 산 자의 가장 큰 예의는 사건을 잊지 말고 기억하는 것이다. 그분들이 어디서 위로를 받을 수 있겠나?"라고 되물었습니다. 그는 "우리 사회는 시간이 지나면 사건을 잊지만, 우리같이 그들의 고통을 가장 가까이서 본 전문가들이라도 잊지 않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한다"라며 울먹였습니다.

노교수가 된 검시관들의 이야기는 잠시 뒤 저녁 6시 40분 〈JTBC 뉴스룸〉에서 전해드립니다.



신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