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나이스신평 “저축은행 부동산PF 추가 손실 확대…대손충당금 늘려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79개 저축은행 전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추가 손실 규모가 약 2~5조원으로 추정돼 지난해까지 적립된 대손충당금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는 신용평가사의 분석이 나왔다. 업권 전체에서 약 1~3조원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이어졌다.

김한울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12일 ‘부동산PF 손실인식 현황과 추가손실 전망’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나이스신용평가의 평가를 받는 SBI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 등 16개 저축은행이었다. 이들은 업권 총 자산의 47.2%, 부동산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의 약 35%를 차지한다.

김 연구원은 부동산시장 회복이 더디게 진행될 경우 지난해 말 기준 7조7000억원 규모인 16개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위험노출금액 중 약 9000억원~1조6000억원이 부실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 저축은행이 적립해둔 관련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말 기준 5469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김 연구원은 약 3000억원에서 1조원의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전체 79개 저축은행으로 확대해서 계산하면, 김 연구원은 업권 전체에서 약 2조6000억원~4조8000억원의 손실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이 추정치 역시 지난해 적립된 업권 전체의 부동산PF 대손충당금을 상회하는 규모로, 약 1조원~3조30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사업 단계별로 세분화하면 본PF는 2.7~7.6%, 브릿지론에서는 5.9%~19.7%의 추가적인 손실 발생이 예측됐다.

김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부동산PF에서 ‘약한 고리’는 중순위 이하로 취급되어 높은 LTV(담보인정비율)를 부담하는 사업장이며, 특히 부동산시장 호황기에 취급되어 토지가액 비중이 높은 사업장에서의 위험도가 높다”면서 “이와 같이 고위험 부동산PF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에는 보다 적극적인 충당금 적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의 재현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저축은행 사태 이후 강화된 규제 및 감독수준, 시행사 자기자본 등을 통한 손실흡수여력이 일부 존재하고 있으며, 저축은행의 자체적인 체질 개선 노력으로 부동산PF 이외의 수익원도 상당 부분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