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날 투표율 12.14%로 역대 최고치…20대 대선 사전투표율 36.93% 넘을까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일인 5일 서울 중구 소공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를 찾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줄을 서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2대 총선의 이틀째 사전투표가 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앞서 사전투표 첫날인 5일 최종 투표율은 15.61%로, 사전투표가 적용된 총선 기준으로 1일차 최종 투표율 중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최종 사전투표율 또한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전날 선관위에 따르면 5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 사전투표에서 4428만11명의 선거인 중 691만510명이 투표를 끝내 최종 투표율이 15.61%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21대 총선의 사전투표 1일차 투표율(12.14%)과 비교하면 3.47%포인트(p) 높은 수치다. 특히, 역대 총선에서 1일차 사전투표율만 놓고 보면 이날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역대 전국단위 선거 중 사전투표율이 가장 높았던 2022년 20대 대선 사전투표 당시의 1일차 투표율(17.57%)보다는 1.96%p 낮다.
첫날 사전투표율을 지역별로 보면 17개 시·도가 모두 12%를 넘었고, 전남이 23.67%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어 전북(21.36%), 광주(19.96%), 강원(17.69%), 세종(16.99%) 경북(16.24%), 서울(15.83%), 충남(15.70%), 충북(15.69%) 등에서 최종 투표율을 웃돌았다. 경남(15.27%), 제주(15.10%), 부산(14.83%), 울산(14.80%), 대전(14.66%), 인천(14.50%), 경기(14.03%) 등은 최종 투표율보다는 낮았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대구로 12.26%였다.
2일차 사전투표는 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65개 사전투표소에서 이뤄진다. 한편, 역대 둘째날 사전투표율을 보면,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의 2일차 투표율은 14.55%로 1일차(12.14%)보다 높았고, 2022년 20대 대선 사전투표 당시의 2일차 투표율 또한 19.36%로 1일차(17.57%)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사전투표가 적용된 2014년 지선 이후 둘째날 사전투표율은 모두 첫째날 사전투표율보다 높았다.
첫날 사전투표율이 역대 사전투표가 적용된 전국단위 선거 중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최종 투표율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사전투표는 전국단위 선거로는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 처음 도입된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여왔다.
사전투표가 적용된 첫 전국 단위 선거였던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의 경우 최종 사전투표율은 11.49%였다. 이후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12.19%, 2017년 대선 때는 26.06%, 2018년 지방선거 때는 20.14%를 각각 기록했다.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의 최종 사전투표율은 26.69%였고, 2022년 20대 대선 사전투표 당시의 최종 사전투표율은 36.93%였다.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치러진 8회 지방선거의 사전투표율은 20.62%로 사전투표율이 다소 낮아졌지만, 당시에는 최종 투표율도 50.9%에 그쳤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는 여야 모두 적극적으로 사전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사전투표 첫날인 5일 이화여대 앞 신촌동 사전투표소에서 한 표를 행사한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은 "투표장에 나가면 (우리가) 이기고, 투표장에 나가지 않으면 대한민국이 망한다"며 "이번 투표부터 사전투표든 본투표든 수(手)개표가 병행된다. 믿고 사전투표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같은 날 대전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재학생들과 함께 한 표를 행사했다. 이 대표는 이날 대전 유세에서 "3명 중 2명이 투표하게 하면 투표율은 66.66%인데 그게 지금 (민주당의) 목표"라며 "투표 포기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내가 안 하면 무효겠지, 어느 쪽 편도 안 든 것이겠지'라고 생각하겠지만 불행하게도 그들이 투표를 포기한 공간은 바로 기득권 소수자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투데이/정대한 기자 (vishalis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