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인천국제공항에 마련된 사전투표소 앞으로 한 가족이 지나가고 있다. 한주형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치권에서는 사전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계열 정당에 유리하다는 속설이 있다. 사전 투표율이 본 투표율을 끌어올리게 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은 편인 젊은 세대가 투표에 적극 참여했다는 방증이라는 해석이다. 과연 사실일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말 그대로 속설일 뿐"이라고 고개를 가로젓는다.
4일 매일경제신문이 최근 10년간 역대 사전 투표율과 선거 결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투표율 상승이 반드시 특정 정당의 승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사전 투표가 처음 도입된 2014년 지방선거에서 사전 투표율은 11.49%를 기록했다. 당시 새누리당은 구·시·군의장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보다 37석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도지사 및 시장 선거에선 양당이 비슷한 결과를 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사전 투표율이 12.19%로 소폭 상승했다. 국민의당 약진과 함께 야권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이듬해인 2017년 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사전 투표율이 26.06%로 '껑충' 뛰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41.08% 득표율로 압도적 승리를 거뒀다.
사전 투표율 상승이 진보 정당 승리로 이어진다는 가설이 틀린 최근 사례는 2022년 대선이다. 20대 대선에서 사전 투표율은 36.93%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나 승리를 거머쥔 것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아니라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었다.
전문가들은 사전 투표율과 특정 정당 득표율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다고 지적한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사전 투표는 투표를 안 하려고 했던 유권자를 끌어모으기보다는 본 투표일에 투표할 유권자를 사전 투표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더 크다"며 "사전 투표율이 보수에 불리하고 진보에 유리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신유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