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가 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렸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석자들과 인사나누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과 연간 310조원 경제효과(2026년 기준) 창출을 위한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전략 과제 중 하나로 국민 일상과 산업현장, 정부행정에 인공지능(AI)을 확산하는 'AI 일상화'를 추진하고 이를 위해 올해 7102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열린 제1차 'AI전략최고위협의회(이하 협의회)' 첫 안건으로 미국, 중국에 이은 AI 주요 3개국(G3) 도약을 위한 민관 합동전략으로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을 보고했다.
4대 핵심 정책과제로는 △글로벌 시장 선도 AI 기술혁신 추진 △전 산업 AI대전환 가속화 △국민 일상에 AI 도입 추진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가 AI·소프트웨어(SW)부터 반도체 기술력과 생산 기반, 첨단 네트워크 등 AI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경쟁력을 보유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가치사슬 전반 강점을 바탕으로 AI반도체 등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 AI 분야 고급인재 양성, AI 고도화와 확산을 뒷받침하는 AI-네이티브(Native)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계획이다.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가 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렸다. 김영섭 KT 대표(왼쪽)와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이 악수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I 일상화를 위한 2024년 국민·산업·공공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통해 일상과 산업 현장, 행정 내 AI를 확산하고 이를 위해 총 7102억원을 투입, 69개 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건강·질병관리와 장애인·어르신 돌봄 등에 총 755억원을 투입해 18개 과제를 추진한다. 민간이 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사회복지 분야 AI 도입과 확산을 지원한다.
산업 현장 AI융합·접목 촉진에 총 2881억원을 투입해 24개 과제를 추진한다. 공정 효율화와 점진적 자동화 등 제조·농업 분야에 AI 기반 생산환경 혁신을 지원하고, 법률 등 서비스 진입장벽 완화와 함께 효과가 빠른 민간 전문 영역 분야 AI서비스 발굴·확산을 신속하게 추진한다.
화재 홍수 재난대비와 일상 업무 보조 등 공공 행정 AI 내재화에 총 1157억원을 투입해 14개 과제가 진행된다. 국민 AI 활용 역량 제고와 AI 윤리 등 안전한 AI 기반 확충에 총 2309억원을 투입하는 등 13개 과제를 추진한다.
이날 출범한 협의회는 산하 분과위·관계부처와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 공동 이행방안을 마련해 책임감 있게 실행해 나갈 방침이다. 향후 국회에 계류 중인 'AI 기본법'이 통과되면 'AI 위원회'와 관계 정립에도 나선다.
정부는 AI 기본법 통과 이전이라도 대통령령 제·개정을 통해 협의회 위상 격상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AI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우리나라가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민간 최고의 전문가와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