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GSMA 라운드테이블이 26일 서울 강남구 KTOA에서 열렸다. 이상학 KTOA 부회장이 발표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활용이 본격화하면서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생태계 구성원의 공정한 비용 분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AI 산업 발전을 극대화하기 위해 민관 협력 생태계 구축과 자율규제 필요성도 제기됐다.
26일 '디지털 혁신을 위한 AI'를 주제로 열린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라운드테이블에서는 AI 시대 인프라 비용 공정분담이 새로운 화두로 부상했다.
이상학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부회장은 “AI 유비쿼터스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구현 가능하며 이는 결국 비용이 발생한다는 의미”라며 “AI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비용 장벽을 낮춰야 하는데 누가 이 비용을 부담할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전세계 인터넷 이용 인구가 51%를 넘어선 상황에서 디지털 복지정책 초점도 '연결'보다는 '활용'에 맞춰 플랫폼, 디바이스 사업자 모두가 대가를 나눠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부회장은 “국내 경우 이통사가 부담하는 요금감면 규모만 한 해 1조3000억원에 달한다”면서 “ICT 생태계는 CPND, 즉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구성되는데 한 곳에만 비용을 전가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AI 서비스라는 새로운 생태계에 대해 비용 분담 문제를 고민해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GSMA 라운드테이블이 26일 서울 강남구 KTOA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신승용 KT 상무, 김태경 GSMA 동북아 대표, 존 지우스티 GSMA CRO, 자넷 화이트 GSMA 정책담당(아태지역), 조규조 지능정보산업협회 고문, 하네스 에크스트롬 에릭슨 대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미국 컨설팅기업 AT커니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은 연평균 37%씩 성장해 2030년에는 1조80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박상우 커니코리아 부사장은 “AI 시장 초반에는 AI반도체와 디바이스 등 하드웨어가 부각됐지만 향후에는 플랫폼과 서비스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디지털 시대 AI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보다는 기업 자율규제 중심의 에코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럽이 다른 지역 대비 AI성장이 더딘 것도 과도한 AI 규제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유럽 경우 AI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21.1%에서 2030년에는 19.8%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아시아는 전세계에 42.5%, 북미는 36.1%를 차지하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박 부사장은 “AI 산업을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의 공통점은 헬스케어, 모빌리티, 금융 분야에서 양질의 데이터가 많고 AI 성장에 대한 정부 의지가 강하다는 것”이라며 “민관이 힘을 합쳐 AI 인프라와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규제보다는 기업 자정작용을 기반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GSMA는 한국 논의를 이어 받아 글로벌 의제에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존 지우스티 GSMA 최고규제책임자(CRO)는 “AI가 디지털 생태계 모든 분야에서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며 “한국은 ICT분야 오랜 리더역할을 해왔으며, 한국업계가 AI 분야에서 쌓아온 지식과 생태계 발전사항이 다른 나라 에도 많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넷 화이트 GSMA 정책담당(아태지역)은 “GSMA는 책임감 있는 AI를 핵심 이니셔티브로 삼아 전세계 다양한 국가의 AI 정책 규제에 대응하고 있다”면서 “AI를 통한 비즈니스 창출뿐 아니라 사회 생태계 개선을 촉진하기 위한 거버넌스 모델과 프로세스에 대한 권고안을 각 정부에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