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강원 원주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주제로 스물두 번째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연초부터 전국 각지에 다니며 시작한 '민생토론회'를 총선 공식 선거운동 기간 잠시 멈춘다. 공직선거법 위반 오해를 우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민생토론회와 별개로, 윤 대통령이 중점 추진하는 정책 과제에 대한 홍보는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24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숫자로 보는 민생토론회'라는 자료를 통해 윤 대통령의 그간 관련 행보를 소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22차례 민생토론회를 위해 다닌 거리는 전국 4970km에 이른다. 이는 서울과 부산(400km)을 약 6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22차례 민생토론회 기간 윤 대통령이 만난 국민은 총 1671명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국민이 참석한 민생토론회는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이달 5일 경기도 광명시 소재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17번째 민생토론회였다.
대통령실은 민생토론회에서 나온 정책을 추진하기까지 걸린 최단 시간이 '3시간'이라는 기록도 소개했다. 올해 2월 설 연휴 직전에 '함께 뛰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살맛나는 민생경제'라는 주제로 열린 10차 민생토론회에서 한 소상공인은 "미성년자가 고의로 음주 후 자진 신고해 영업 정지를 당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현장에서 직접 지시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토론회 종료 후 3시간 만에 조치했다.
대통령실이 공개한 민생토론회에서 나온 정부 추진 '민생정책 개선 과제'는 모두 359건(국민 직접 건의 등 168건·부처 발표 정책과제 191건)이라고 밝혔다.
22차례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한 국민은 모두 222명이었다. 최연소는 부산에서 열린 11번째 민생토론회(2월 12일)에 참석해 발언한 만 13세 학생이었다. 최고령은 강원 원주에서 열린 22번째 민생토론회(3월 21일)에 참석해 발언한 만 88세 국민 2명이었다.
윤 대통령이 연초 부처별 업무보고를 현장에서 국민과 직접 만나는 자리로 바꾼 민생토론회는 '관권 선거' 논란도 있었다. 22대 총선에 앞서 대통령이 지역마다 현안을 찾아가 챙기자, 야당은 '관권 선거'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비판에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4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민생토론회는 정치적인 일정과는 무관하다"고 재차 해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는 민생토론회가 잠시 멈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만 잠시 중단되는 것"이라며 "(총선 선거운동 기간에는) 법이 허용하는 테두리 내에서 현장을 다니며 민심 경청은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총선 이후 (민생토론회는) 재개하고 연중 내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총선과 별개로 민생 현안은 꾸준히 챙길 것이라는 메시지다.
이에 윤 대통령이 최근 관심을 기울이는 늘봄학교 현장을 다시 찾을지 관심이다. 최근 고물가 상황에 시장을 찾을 가능성도 있다.
선거운동 기간에 잠시 멈추는 민생토론회와 달리, 정책 홍보는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통령실 참모진들은 민생 경제 현안과 관련,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성태윤 정책실장과 장호진 국가안보실장부터 장상윤 사회·박춘섭 경제수석비서관까지 방송에 출연해 고물가 상황,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 이종섭 주호주대사 문제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냈다.
특히 성 실장은 이달 3일(MBN), 9일(채널A), 24일(KBS) 방송에 출연해 고물가 대응과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건설업 위기, 부동산 현안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정부 입장을 직접 설명했다. 장 실장도 14일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에 출연, 해병대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연루된 이종섭 대사의 '수사 회피' 논란을 두고 "공수처가 조사 안 한 게 문제의 핵심"이라며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투데이/최영훈 기자 (choiyoungk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