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7~9월 전국 지역축제 10곳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10곳에서 조리·판매한 음식(치킨, 닭강정, 슬러시, 김밥 등) 30개 중 치킨과 닭강정에서 각각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또 슬러시 5종에 대해 세균수를 시험한 결과 3종은 불검출, 2종은 기준 이하로 확인됐다.
일부 축제지역에서는 부패·변질되기 쉬운 손질된 식재료와 조리된 식품을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진열하고 있었다.
조리·판매 종사자가 위생모, 위생장갑,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식품을 취급하거나 조리도구 및 식기, 식재료 폐기물 관리 등이 비위생적인 곳도 일부 확인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유동인구가 많은 야외에서 대량 조리한 후 매대에 진열해 판매하는 식품은 위생적으로 조리·보관하지 않으면 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조리부터 판매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부 축제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주문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부 축제장의 경우 LPG 충전 용기나 가스, 전기시설 관련 안전 관리도 미흡했다.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에 따르면 LPG 충전용기는 직사광선이나 눈, 비 등에 노출을 막기 위해 차양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 대상 축제장 내 68개 업소 중 35곳(51.5%)이 차양 조치를 하지 않아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었다.
축제장 내 설치된 배·분전반 43기 중 2기(4.7%)는 문이 개방된 채로 방치돼 있었다. 1기(2.3%)는 어린이들의 이동이 잦은 수영장 입구에 설치돼 감전 사고 위험이 있었다.
지역축제는 실외행사가 대부분인 만큼 하절기에는 온열질환, 동절기에는 한랭질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10곳 중 무더위 쉼터를 운영한 곳은 4곳뿐이었고 이 가운데 냉방시설을 갖춘 곳은 1곳에 불과했다.
행사장에 마련된 공연장 중 장애인 양보석을 운영하거나 수어 통역을 제공한 곳도 각각 2곳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부처, 지자체와 공유하고 안전관리 매뉴얼 준수, 관리·감독 강화, 지역축제 참여업체 대상 안전관리 교육·지도·관리 강화, 자치단체별 자치법규 개선 등을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코로나앤데믹과 함께 지역축제가 활발해지면서 집단 식중독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22년 지역축제 총 방문객 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19.7% 증가했다.
소비자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