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진구을 출마한 전 서울시 부시장 인터뷰
"광진을로 지역구 옮긴 건 도시 발전 가능성을 봤기 때문"
"초고층 재개발로 명품 주거환경, 한강 수변도시 등 약속"
4·10 총선에서 서울 광진구을에 국민의힘 단수 후보로 공천된 오신환 전 의원은 진보정당의 일당 독주 체제 탓에 지역이 쇠퇴했다고 평가했다.
오 전 의원이 지난해 서울시 정무부시장직을 내려놓고 도전장을 낸 광진을은 국민의힘 입장에선 수도권 중에서도 ‘한강벨트’ 탈환의 핵심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다. 성동구와 분구(分區) 이전인 1988년 13대 총선 이후 보수 정당 후보가 지역을 차지한 적이 없는 ‘험지 중 험지’기 때문이다.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오신환 국민의힘 서울 광진을 후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세훈 서울시장조차 21대 총선에서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득표율 약 2.55%포인트 격차로 석패했다. 이 때문에 오 전 의원과 현역인 고민정 의원의 이번 대결은 ‘문재인계’와 ‘오세훈계’의 승부, ‘4년 만의 리벤지 매치’로 불리기도 한다.
오 전 의원은 이런 광진구에서도 승리가 보인다고 자신했다. 그는 “부시장직을 내려놓고 광진구민들과 본격적으로 소통한 지 벌써 반년이 넘었다”면서 “뚝섬유원지역 이름을 자양역으로 바꾸고, 정비사업 추진에 탄력을 만들어내는 등 구민들이 원하던 변화를 만들면서 인정받고 있다”고 했다.
오 전 의원이 광진을 선택한 또 다른 이유는 정치지형의 변화 때문이다. 2022년 6월 열린 지방선거에서 오 시장의 광진구 득표율은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에 비해 18.33%포인트 더 높았다. 김경호 광진구청장도 김선갑 민주당 후보를 2.41%포인트로 누르고 당선됐다.
그는 “오 시장의 출마 권고도 있었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정무부시장직을 수행하며 광진구에 대한 발전 가능성과 비전을 봤다”면서 “오 시장과 김경호 광진구청장이 차례로 취임한 뒤 모아타운 등 정비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상대 후보인 고민정 의원은 지난 4년 공안 지역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오 전 의원은 광진구와 개인적 인연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1989년 건국대를 다니며 동네를 오갔고, 아내의 고향이 자양동이기 때문에 저희 아이들이 어린 시절 뛰어놀던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보석 같은 도시가 정체된 것이 더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오 전 의원의 자신감은 험지 탈환 경험에서 나온 것이기도 하다. 지난 2006년 제4회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그는 2015년 상반기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본인이 나고 자란 서울 관악을 지역구를 27년 만에 보수정당 품에 안겼다.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 후보로 처음 국회에 입성한 뒤 2016년 20대 총선에서도 같은 지역구에서 승리하며 재선에도 성공했다.
오 전 의원은 이번 총선 공약으로 △한강 정취를 누리는 아름다운 수변도시 △초고층 신속재개발 명품 주거도시 △서울 대표 교육도시 등을 내세웠다. 이에 더해 교통망 보완도 구상하고 있다. 그는 “2호선과 7호선이 있지만, 한강을 지나가는 뚝섬로길에 도시철도망이 더 만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국가철도망 계획에 추가로 관철할 부분을 고민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 전 의원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인’이라고 소개하는 만큼 22대 국회에 입성하게 된다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정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2006년 서울시의원으로 처음 정치를 시작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합리적인 대안을 찾으려고 노력해왔다”면서 “국민을 위해 진영에 갇히지 않고 민생 정치, 생활 정치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 전 의원은 22대 국회 1순위 과제로 ‘인구 소멸 문제 해결책 모색’을 꼽았다. 그는 “인구 감소는 국가적인 과제”라면서 “저출생의 문제를 넘어 경제의 동력을 잃고 지방 소멸과 인구 소멸의 문제로까지 귀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범정부 차원의 위원회를 구성해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