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전년(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7.7%) 감소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2022년 0.78명에서 지난해 0.72명으로 떨어졌다. 남녀 100쌍(200명)이 72명만 낳는다는 의미다.
김영옥 기자 |
저출산에 브레이크는 없다. 오히려 가속페달만 더 세게 밟는 모양새다. 2021년과 2022년엔 전년 대비 출생아 수 감소율이 각각 4.3%와 4.4%였다. 2016~2020년까지 연간 감소율 7~11%대를 기록하던 것보다 낮아지면서 저출생 속도가 둔화하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감소 폭이 7.7%로 커지면서 그런 희망마저 꺾었다. 코로나19 유행마저도 지난 만큼 “전염병 때문”이라는 저출산 원인 설명도 더는 유효하지 않다.
이미 최악의 저출산을 겪고 있었는데 바닥 밑엔 또 바닥이 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합계출산율은 0.65명이었다. 분기 기준 출산율이 0.6명대를 기록한 건 처음이다.
━
작년 4분기 출산율 0.65명 쇼크… 저출산 속도 점점 더 빨라져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장래인구추계에서 올해는 0.68명으로 예상했다”며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0.6명대로는 떨어지지 않을 거라 봤는데 분기 단위에서 0.6명대가 나오는 등 현실로 다가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옥 기자 |
국제 비교는 무의미한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출산율은 1.58명(2021년 기준)이다. 프랑스(1.8명), 미국(1.66명) 등 경제 규모가 한국보다 큰 나라도 0.72명의 2배 넘는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다. 일찌감치 저출산 위기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합계출산율도 1.3명으로 한국보다 월등히 높다. 한국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건 스페인인데 이마저도 1.19명에 달한다.
어머니 기준 평균 출산 연령은 33.6세로, 전년(33.5세)보다 0.1세 높아졌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6.3%로 1년 새 0.6%포인트 늘었다. 특히 첫째 출산 연령이 33세에 달했다. 역시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은 나이다. 출산 연령이 늦어지다 보니 둘째·셋째 비중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첫째 아이는 13만8300명으로 1년 전보다 6700명(4.6%) 줄었는데 둘째는 감소 폭이 11.4%(9500명), 셋째 이상은 14.5%(2900명)에 달했다. 하나도 잘 안 낳는데, 둘 이상은 더 안 낳았다는 뜻이다.
수도권 쏠림과 이로 인한 과도한 경쟁,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이 출생아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집값·양육비 부담은 낮은 출산율의 이유가 되긴 하지만, 지금처럼 가파른 하락세를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정서적으로 젊은 세대가 출산을 거부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가정이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게 인식 전환 노력을 하고, 동시에 축소 사회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