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 D램 현물가 5개월간 30% 이상 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K하이닉스 10나노급 5세대 DDR5 D램 모듈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로 통하는 메모리 D램 현물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5개월 연속 오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로 가격 상승세가 굳어지면서 시장 회복 전망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오늘(1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범용 제품인 'DDR4 8기가비트(Gb) 2666'의 현물 가격은 지난 8일 기준 1.937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말의 1.761달러 대비 올해 들어서만 10%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9월 4일에 기록한 연중 최저가 1.448달러와 비교하면 5개월여 만에 33.8% 올랐습니다.

더 용량이 큰 'DDR4 16Gb 2666' 제품 가격 역시 작년 9월 7일의 연중 최저가 2.715달러에서 지난 8일 3.673달러로 35.3%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전방 IT 수요 부진 여파로 D램 현물 가격은 2022년 2월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었습니다.

그러나 공급 업체의 감산 효과 본격화와 재고 소진 등이 맞물려 가격은 작년 9월 초를 기점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D램 현물 가격은 대리점을 통해 일시적으로 이뤄지는 거래 가격입니다.

통상 4∼6개월 후 기업 간 거래 가격인 고정 거래 가격에 수렴해 시장 선행 지표로 통합니다.

일일 가격 등락으로 향후 가격 추세를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시장의 매매심리를 즉각 반영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습니다.

D램 고정 거래 가격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D램익스체인지가 집계한 'DDR4 8Gb' D램 제품의 1월 평균 고정 거래 가격은 전월보다 9.09% 오른 1.8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가격 반등이 시작되기 전인 작년 9월의 1.3달러 대비 38.5% 오른 수준입니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D램 공급자들은 지난해 하반기 감산을 통해 재고 부담을 줄였고 출하량을 조정해 가격 반등을 끌어냈다"며 "구매자들도 활발히 재고를 비축하면서 작년 4분기부터 유의미한 가격 상승이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견조한 소비, 지속된 감산 효과, 재고 비축 수요 등에 작년 4분기와 같이 올해 1분기에도 가파른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SK하이닉스 제공, 연합뉴스)

한지연 기자 jyh@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