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진보연합', 비례 위성정당 동참할듯…녹색정의·진보당은 유보적
지역구 선거연합, 군소정당 현역 있거나 강세인 지역구선 민주당 양보 가능성
비례연합정당 추진 방향 발표 |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설승은 한혜원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다가오는 총선에서 '지역구·비례선거 대연합' 구상을 내놓으면서 그 성사 여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는 5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비례대표 배분 방식과 관련, 현행 '준(準)연동형' 유지를 당론으로 결정하고 사실상 위성정당 추진 방침을 밝혔다.
'정부 심판론'에 동조하는 야권 세력을 끌어모은 '민주개혁선거대연합'을 구축한 뒤 통합형 비례정당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다만 거대 양당에서 떨어져나와 '제3의 길'을 선언한 군소정당들은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에 부정적이어서 결국 연합 가능한 세력은 진보좌파를 표방하는 군소정당으로 한정될 전망이다.
이대로라면 4년 전 총선에서 등장한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유사한 형태가 되고, 자연스레 비례대표에서 군소정당의 몫이 생긴다.
당시 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번부터 10번을 비(非)민주당 인사들에게 할당했다.
김영배 의원은 6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위성정당이) 20명을 공천한다면 11∼20번을 민주당이 맡고, 앞 순번을 민주개혁 세력에 내어주는 게 맏형으로의 책임 아닐까"라고 말했다.
이 경우 기본소득당과 열린민주당, 사회민주당 등으로 구성된 '새진보연합'은 별 이견 없이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대표는 전날 이 대표의 입장 발표 후 이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용 대표는 21대 총선에서 이미 더불어시민당 후보로 원내에 입성한 이력도 있다.
진보4당, '위성정당과 병립형 반대' |
녹색정의당과 진보당은 '민주당이 제안해 오면 논의해볼 수 있다'는 원론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일단 구체적인 이해득실을 꼼꼼히 따져본 뒤에 결정을 내리려는 분위기다.
내부 상황이 더 복잡한 쪽은 녹색정의당이다.
녹색정의당은 4년 전 총선에서 민주당의 위성정당 전략으로 6석을 얻는 데 그친 터라 이번에도 비례 위성정당에 동참하기에는 명분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실리적인 면을 따져서 이 대표의 통합형 비례정당에 함께했을 때 더 많은 비례대표 의석이 보장된다면 내부에서도 동참하자는 의견이 힘을 받을 수도 있다.
군소정당 중 가장 많은 현역 의원을 보유한 만큼 비례대표 1∼10번 중에 더 많은 지분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추진 중인 정당의 참여 가능성도 대두되지만, 민주당 내에서는 신중론이 우세한 분위기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비례정당 취지는 총선에 (그들의) 의석을 배분하고 원내에 진출할 통로를 열어주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러려면 일정하게 지지율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구 선거에서의 연합 여부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군소정당 중 전국적인 선거 조직을 갖춘 쪽은 녹색정의당과 진보당 정도다.
이들이 모두 후보를 내면 박빙인 지역에서 야권의 표를 분산시켜 여권에 반사이익을 줄 수 있는 만큼 야권으로서는 지역구 선거에서 연합해야 할 당위성은 충분하다.
이들 정당 간에 합의가 이뤄진다면 녹색정의당·진보당 후보가 경쟁력과 당선 가능성을 갖춘 지역에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방안도 거론된다.
같은 곳에서 세 번의 총선을 이긴 녹색정의당 심상정 의원의 경기 고양 갑, 진보당 강성희 의원의 지역구인 전북 전주을 외에 진보정당이 강세를 보이는 울산과 경남 창원, 인천 등이 그 후보지다.
2019년 경남 창원시 성산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과 정의당이 단일화를 해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당선됐다. 지난해 전북 전주을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았고, 진보당 강 의원이 당선됐다.
kj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