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저PBR도 지나가는 테마? 증시 상승 탄력 '이것'에 달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내 놓은 증시 부양 정책마저 시장에서는 하나의 '테마' 정도로 인식하는 모습이다. 정책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증시 강세는 오래 가지 못했고 수혜 대상이 된 저PBR 업종도 급등락이 이어진다. 아직 정책이 구체화되지 않은 데다 증시를 둘러싼 매크로(거시 경제) 환경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자 변동성이 확대된 탓이다.


'저PBR' 기대감에 투자자예탁금 3조원 늘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에서는 저PBR 업종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고, 증권사들의 분석 보고서 발간도 이어졌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 해소를 위한 정책을 내 놓으면서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업종이 수혜 대상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 스스로 기업가치를 분석해 대응 방안을 설계하고 투자자에게 알리게 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계획을 다음 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PBR, ROE·자기자본수익률 등)를 시가총액·업종별로 비교 공시하도록 한다. 또 이를 토대로 상장사가 기업가치 개선 계획도 밝히도록 권고한다.

시장이 저PBR 업종 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증시 부양도 예상하면서 코스피 지수는 상승했다. 특히 기대감이 본격화 된 지난 29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2.09포인트(0.89%) 올랐고 PBR 1 미만의 저PBR 업종도 상승했다. 투자자들의 기대에 증시 대기자금도 하루만에 크게 늘었다.

3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26일 49조649억원이었는데, 지난 29일 52조2041억원으로 증가했다. 1거래일 만에 3조원이 넘게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증시 부양 기대감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대표적인 저PBR 업종인 철강, 유통 등은 일부 강세였지만, 상승 탄력이 떨어진 코스피 지수는 전날 하락 마감했고 이날 역시 0.07% 내렸다. 최근 주가가 부진했지만 정책 기대감에 저PBR 대형주로 주목받은 현대차나 삼성SDI도 등락을 거듭 중이다.


매크로 불확실에 수급 불안정…FOMC '주목'

머니투데이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책 수혜 업종, 종목에 대한 관심도가 금방 약화하자 증권업계에서는 저PBR 종목이 테마주 중 하나가 된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아직 구체적이지 않은 정책에 투자자들의 의구심도 생겼다. 강재현 SK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구체적인 방안 제시에 이은 기업의 실제 이행까지 연결되는 것이 이상적인 시나리오로 보인다"며 "단순 테마성으로 반짝하고 마는 모습에 그친다면 긴 기간 유효한 모습을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고 봤다.

특히 수급이 일정하게 늘어나며 주가나 지수를 상승시키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데, 수급의 변동성은 증시를 둘러싼 환경의 불확실성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박소연 신영증권 투자전략 이사는 "매크로 모멘텀이 약하다보니 증시 수급이 저PBR, 배당, 주주환원, 지주 등의 정책이나 챗GPT 스토어, 제약바이오 등의 모멘텀을 찾아 떠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증시와 수급 불확실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크로 요인은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이다. 1월 들어 코스피 지수가 급락한 데는 3월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한 영향도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3월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현행 대비 25bp(1bp=0.01%) 금리 인하 가능성은 44.7%로 약 한 달 전의 73.4%에 비해 30% 가량 줄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기대는 미뤄졌지만, 금융시장이 기대하는 연내 금리 인하폭은 150bp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시간 1일 오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의장이 어떠한 메세지를 내 놓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 수준의 연준의 양적 축소가 지속될 경우, 2024년 중 1분기에 시중 유동성이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될 전망"이라며 "이에 당분간 유동성 위축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연준의 피벗(정책 선회)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홍재영 기자 hjae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