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구미시, 농산물가공 창업 지원 … 부가가치 창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개소, 가공 창업 성장 기대

가공 창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대표 상품 개발 추진

경북 구미시는 농업인의 성공적인 농산물가공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가공 창업 역량 강화와 마인드 함양 등 기반 조성에 힘쓰며,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를 꾀한다.
아시아경제

농산물 가공센터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신축·운영

2020년 농촌진흥청 공모사업에 선정돼 2021년부터 총사업비 26억원(국비 5억원, 시비 21억원)이 투입된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가 상반기에 가동될 예정이다.

가공센터는 농업인들이 가공 창업을 할 때 공동가공 이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창업의 실패 요인과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을 줄여 창업의 성공을 지원한다.

농업기술센터 내에 설치되는 가공센터는 HACCP 인증 시설로 가공상품의 안정성을 확보했고, 495㎡의 1층 건물로 습식가공실과 건식가공실, 포장실, 자가품질검사실 등을 갖췄다. 또 다양한 가공상품 생산이 가능하도록 총 68종 100대의 농산물가공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습식가공실에는 음료, 농축액, 잼, 절임류를 위한 공압착즙기, 농축기, 저장탱크 등의 장비를, 건식가공실에는 분말, 환, 건조스낵, 말랭이를 위한 열풍건조기, 조분쇄기, 제환기 등을 설치한다. 스틱포장기, 스크류포장기, 롤포장기 등 다양한 포장기를 설치해 여러 유형의 상품생산이 가능하고, 자가품질검사실을 통해 상품이 출고되기 전 미생물 검사 등이 가능하다.

가공센터는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농산물가공 창업 교육프로그램 기초과정, 심화 과정을 모두 수료한 자만 이용할 수 있으며, 올해는 가공센터 시범운영 기간으로 장비 사용료가 면제된다.

또 전담 인력이 농업인들의 제품기획부터 판매용 제품 개발까지 기술 지원을 하며, 제품 판매 시 농업인과 농업기술센터의 OEM(주문자위탁생산)을 통해 농업인이 가공제품을 생산·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농산물 가공 창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농업인의 원활한 농산물가공기술지원센터 이용을 위해 지난 2022년부터 농산물가공 창업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지금까지 기초과정 3기 26회, 심화 과정 2기 20회 추진했으며, 총 826명이 교육에 참여했다.

기초과정을 통해 식품위생법, HACCP 인증, 가공상품 개발, 가공 창업을 위한 인허가사항 등의 교육을, 심화 과정을 통해 HACCP 관련 심화 이론, 가공상품 개발, 브랜드 개발, 가공 창업 선진지 견학 등을 실시했다.

올해, 기초과정은 식품위생법 등 이론교육, 심화 과정은 제품개발을 위한 실습 교육, 마스터 과정은 개인별 디자인·브랜드 개발을 위한 실습, 가공센터 장비 활용 교육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기초과정 30명, 심화 과정 30명, 마스터 과정 2회 20명(회당 10명)을 모집한다. 교육생 모집은 2월 중 구미시와 농업기술센터 누리집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구미시 대표 가공상품 개발

농업기술센터는 구미시 대표농산물인 ‘멜론’과 요즘 많이 생산되고 있는‘샤인머스켓’을 중심으로 농산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사업비 5000만원을 투자해 한국식품연구원과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젤리, 음료 등 대중성과 선호도가 높은 가공식품과 내·외포장 디자인, 구미시 가공식품 브랜드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유아부터 노년까지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해 가공품 판매를 활성화하고, 포장단위와 유형 다양화로 구미 홍보용 굿즈를 만드는 등 관광상품으로 연계할 예정이다. 또 먹거리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학교급식과 로컬푸드 매장 납품을 계획 중이며, 구미팜,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 판매처도 개설할 예정이다.

김장호 시장은 “농업인들이 농산물 가공 활동을 통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농업 외 소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여러 면에서 지원할 계획이며, 구미시의 농업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기자 marisd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