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비트코인 4만 달러 ‘붕괴’…현물 ETF 승인 후 20% 가까이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대표적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이미지.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달 초 4만 8000달러까지 치솟았던 비트코인이 결국 4만 달러선을 내주며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물 ETF 승인까지 급속도로 상승했던 가격이 관련 소재의 소멸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급락하고 있다는 평가다.

현물 ETF 승인 이후 20% 가까이 급락
“3만 6000달러대까지 떨어질 수도”


23일 글로벌 코인 시황 중개사이트에서 비트코인은 전날 대비 2.39% 하락한 4만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직후 4만 8600달러대까지 올랐던 비트코인은 이날 장 중 한때 3만 9000달러 후반대까지 떨어지며 4만 달러 선 붕괴를 맞았다.

비트코인은 2021년 11월 역대 최고치인 6만 6000달러대까지 올랐으나 이듬해 ‘테라·루나 사태’와 ‘FTX 파산 신청 사태’ 등으로 가상자산 시장 침체기를 의미하는 이른바 ‘크립토 윈터’를 직격으로 맞으면서 1만 6000달러대까지 급락했다. 지난해 점차 반등을 보이던 비트코인은 그해 8월 미 연방법원이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신청을 반려한 건 부당하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결과적으로 SEC가 현물 ETF 승인을 내린 이달 초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승인 이후 낙폭을 키워온 비트코인이 4만 달러 붕괴를 맞은 원인으로 현물 ETF발 매도 압력이 꼽힌다. 가상자산 운용사인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ETF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는 것이 비트코인의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펀드(GBTC)에서는 최근 한 주 동안 22억 달러(2조 9480억원)가 빠져나갔다. 그레이스케일은 기존에 운영하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을 비트코인 현물 ETF로 전환해 상장했는데, 기존 신탁 상품에 투자했을 때보다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자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을 위한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크레이지블록 크립토퀀트 분석가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에 대한 약세 심리를 고려할 때 조정 시 주요 지지선으로 유력한 가격대는 3만 6000달러~3만 8000달러(4804~5071만원)”라고 판단했다.

메사리 “올해 비트코인 오른다”
금투협회장 “현물 ETF 거래, 현재로선 방법 없어”


다만 올해 가상자산 시장 전체 전망에 대해선 긍정적인 관측이 유지되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리서치센터는 이날 미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기업 ‘메사리’가 발간한 2024년 가상자산 업계 전망 보고서 번역본을 통해 비트코인의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자들이 보유할 수 있는 비트코인은 2100만 개에 불과한데, 4년 주기의 반감기 이벤트가 2024년 중반 예정돼 있고,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재무제표에 비트코인 시장 가치 반영 등 이벤트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거라는 분석이다.

한편 금융당국이 국내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 중개는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사실상 금지한 가운데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관련 상품의) 투자 필요성이 커지면 법을 정비하는 게 필요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목이 집중됐다.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서 회장은 국내에서 중개가 금지된 비트코인 현물 ETF에 관해 “현재로선 방법이 없다”면서도 “투자 필요성이 높아지면 법을 정비하는 게 필요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 회장은 “(현행법상) 비트코인 현물 ETF를 국내 증시에 상장하거나 해외 상장 상품을 중개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해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많이 논의되고 있어, 협회도 (관련 법 정비가 필요한) 그런 환경이 됐을 때 늦지 않게 거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민나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