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틴베스트 "환경 마련하자 외국인 자금 유입"
"코스피, 장기 성장성보단 단기 환차손익에 초점"
사람들이 일본의 닛케이 225 지수를 보여주는 전광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1일 도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지난 19일 전날보다 1.40% 오른 3만5963.27에 마감했다. 장 중 한때 3만6076.23을 기록하며 3만6000선을 넘기도 했다. 닛케이 지수가 종가 기준 3만5000선을 넘어선 건 1990년대 ‘거품 경제’ 이후 처음이다.
이 같은 상승세는 작년부터 이어져 왔다. 작년 12월27일 일본 토픽스는 2365.4로 마감하면서 1년간 25% 상승했다. 닛케이225 지수는 29% 상승하면서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폭(17%)을 크게 웃돌았다.
일본 기업의 거버넌스 개선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양호한 증시 흐름에 대해 일본 투자업계에서는 기업 거버넌스 개혁 성과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짚었다.
류호정 서스틴베스트 책임연구원은 니코자산운용을 인용해 2013년 아베 총리 시절 일본의 기업 거버넌스 개혁이 시작된 데 주목했다. 당시 일본 기업들은 모회사와 자회사 이중 상장과 순환출자, 인수 방어책, 소수주주 권리 외면 등으로 해외 투자자들로부터 비판받았다.
이에 아베 전 총리가 경제 성장 정책 일환으로 기업 거버넌스 개혁과 이를 통한 기업가치 증대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2014년 금융청(FSA) 주도로 일본 스튜어드십코드가 제정됐고, 일본 공적기금(GPIF)이 도입 의사를 밝히며 스튜어드십코드와 GPIF 목표를 일치시켰다.
류 연구원은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조성한 결과 해외 기관투자자 자금이 일본 증시로 유입됐다”며 “엔화가 하락하는 환경에서 일본 증시가 우상향한 건 해외 투자자들이 일본 기업들의 장기 성장성을 높게 평가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일본과 달리 국내 주식 투자에 대한 해외 투자자의 초점은 장기 성장성보다는 단기 환차손익에 맞춰져 있다고 류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해외 투자자들에게 국내 기업들의 장기 투자 매력이 낮다”며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으려면 재무적 수익성 등 사업 내용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는 거버넌스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에서는 거래소가 주도해 주주환원 확대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작년 3월 도쿄증권거래소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상장기업들에 1배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촉구했다. 이를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는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을 꼽았다.
일본 금융청이 주식 등 대량보유 보고 제도(5% 룰) 완화를 검토 중이라고도 언급했다. 류 연구원은 “주주들의 공시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기관투자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며 “기업 거버넌스 관행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제도 운영과 보완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