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국민 10명 중 9명 "개고기 먹고싶지 않아"... 이유는 '정서적 거부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 10명 중 9명은 지난 1년간 개고기를 먹지 않았고 앞으로도 먹을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의 '2023 개 식용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개고기 취식 경험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4.5%가 '없다'고 답했다.

'향후 개고기를 먹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다'는 응답도 93.4%나 됐다. 이는 2022년도 조사 결과(88.6%)보다 4.8%p(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실질적으로 개고기를 취식이 거의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지난 1년간 개고기를 먹은 적이 없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먹지 않은 이유를 물은 결과 '정서적으로 거부감이 들어서'라는 대답이 5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사육·도살 과정이 잔인해서(18.4%), 생산·유통 과정이 비위생적일 것 같아서(8.8%), 주변이나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 때문에(7.1%), 맛이 없어서(5.0%), 건강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3.9%) 등 순이다.

개를 식용으로 사육, 도살, 판매하는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는 것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물은 결과 '법적 금지에 찬성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82.3%였다.

식용 목적의 개 사육, 도살, 판매가 법으로 금지된다면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복수 응답)에 대해 '고통받는 개가 줄어들 것'(60.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동물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개선될 것(57.2%), 개 식용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이 줄어들 것(45.3%), 국제사회에서 국가 이미지가 개선될 것(39.8%), 공중보건에 도움이 될 것(22.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어웨어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2일부터 17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 시민들은 개를 더 이상 '음식'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개 식용 문제를 입법해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됐다"면서 "시민들은 개 식용 종식을 통해 우리 사회가 동물을 대하는 인식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 식용 금지를 핵심 내용으로 한 '개 식용 목적의 사육, 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은 지난해 12월 1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법안심사 소위를 통과했다.

박효주 기자 ap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