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2 (수)

이슈 물가와 GDP

정부, 올해 성장률 2.2% · 물가상승률 2.6%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한국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은 2년 연속 3%를 넘는 고물가에서 벗어나 2%대 중반으로 내려올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고물가·고금리가 길어진 탓에 민간소비는 쉽사리 개선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건설투자도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4일)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예상치 1.4%)보다는 0.8%포인트 성장세가 개선된다는 전망입니다.

다만 지난해 7월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보다는 0.2%포인트(p) 낮췄습니다.

주요 기관과 비교해보면 한국개발연구원(KDI)과는 같지만, 한국은행(2.1%)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정부 전망보다 높은 2.3%를 제시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2%로 예상해 정부 전망과 같습니다.

정부는 내년 성장률 반등의 근거로 세계 교역 회복을 꼽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반기 들어 좋아지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작년 10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입니다.

연간으로는 7.4%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회복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지난해 310억 달러에서 올해 500억 달러로 개선될 것으로 봤습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수출은 회복이 시작됐다"며 "어느 정도 속도와 폭으로 회복할지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예상하는 궤도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세계 주요국과 비교하면 경기 회복세가 약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작년 11월 OECD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는 2.7%, G20 국가는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 전망치(2.3%)보다 0.4∼0.5%p 높습니다.

2023년 성장률도 세계 경제 2.9%, G20 3.1%로 나타나 한국(1.4%)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IMF도 올해 세계 경제가 2.9%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선진국 성장률 전망치는 1.4%로 한국보다 낮았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완만하게 둔화해 연간 2.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직전 전망보다는 0.3%p 높아진 수치입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으로 작년보다는 인플레이션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다만 올해 상반기까지는 3% 내외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정부는 예측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상여건 등에 따른 불확실성도 있다고 봤습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3.6%를 기록했습니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역대 최대폭 상승했고 지난해 하반기 들어 크게 뛴 농산물 물가도 쉽사리 진정되지 않았습니다.

2022년(5.1%)보다는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19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3% 이상으로 올랐습니다.

올해 성장률 반등·물가상승률 하락 전망에도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내수로 온기가 확산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정부는 올해 민간소비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직전 전망(2.2%)보다는 0.4%p 낮췄습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잠재 리스크로 꼽히는 가운데 건설경기 전망도 어둡습니다.

정부는 올해 건설투자 전년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0.2%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 데서 '마이너스'로 전망을 수정했습니다.

고용지표는 그간 고용 호조를 견인하던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23만 명 늘어날 것으로 봤습니다.

지난해 32만 명(예상치)보다 9만 명 줄어든 것입니다.

인구 감소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고용률의 경우 지난해 62.6%에서 올해 62.8%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