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2050년 빙하 녹아 인천 해수면 4㎝ 상승…지구 평균보다 높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극지연구소는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2050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약 3.6㎝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고 3일 밝혔습니다.

인천은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는 뉴욕과 시드니 등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습니다.

극지연구소 이원상 박사 연구팀은 1992년 이후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변화를 예측했습니다.

지난 30년간 빙하는 꾸준히 줄었는데 사라진 빙하는 대부분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을 높였습니다.

연구팀은 빙하 감소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미래의 빙하 손실량을 계산하고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습니다.

2050년에 지구 해수면은 평균 약 3.6㎝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해수면 상승에 기여한 정도는 그린란드 빙하가 남극의 1.5배 수준이었습니다.

예측 결과 빙하가 줄면서 남극과 그린란드 주변은 만유인력의 감소로 해수면이 오히려 하강했고 먼바다에서는 반작용으로 평균보다 해수면 상승 폭이 컸습니다.

인천은 이러한 과잉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연구는 여러 기후 변수를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미래를 예측하던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접근이었으며, 국내 연구팀이 극지방 빙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적으로 정밀 예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극지연구소는 설명했습니다.

남극과 그린란드에는 지구의 해수면을 65m 높일 만큼의 빙하가 쌓여 있는데 최근 빙하의 손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달 중 극지에서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남극 스웨이츠 빙하에서 정밀 관측을 수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지구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지난달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됐습니다.

김병훈 극지연구소 연수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극지방의 빙하 손실만을 고려해 예측한 '최소한의' 해수면 상승치"라면서 "향후 1.5도 이내의 온도 상승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실제로는 더 심각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와 저위도 연안 국가들은 극지 빙하가 녹으면서 나타나는 해수면 상승 피해의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며 "해수면 상승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