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AI)이 일상으로 들어온다. 글로벌 빅테크는 물론 크고 작은 기업들이 올해 중으로 AI 서비스를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서버와 반도체 등 전방 산업 회복 속도도 빨라질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올해 MS365 코파일럿 한국어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MS365 코파일럿은 챗GPT를 MS 오피스 제품군에 접목한 서비스다. 워드와 파워포인트 등 문서를 분석하고 새로 생성하는 등 간단한 사무 업무를 스스로 처리한다. 지난해 시험 운영을 끝내고 정식 출시했으며, 안드로이드에 이어 애플 iOS용 애플리케이션도 내놓을 예정이다.
삼성SDS도 CES2024에 '브리티 코파일럿'을 공개하고 출시를 준비 중이다. 마찬가지로 문서와 이미지 생성 등 간단한 업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미 상용화된 AI 서비스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수주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LG가 엑사원2.0을 공개하고 계열사에 도입한데 이어 외부 기업을 대상으로도 도입을 추진 중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하이퍼 클로버X도 마찬가지, 글로벌에서도 아마존이 AWS를 앞세워 '아마존Q' 알리기에 나선 가운데 메타는 라마2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도 했다. 구글도 듀엣 AI를 출시했다. 그 밖에도 이미지 생성과 코딩 AI까지 다양한 서비스들이 론칭을 준비중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I 서비스가 올해에서야 본격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성능 안정화다. 초기 생성형 AI는 다소 불안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상용화에 의문이 컸지만, 챗GPT4 등으로 성능을 보완하면서 오류가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AI 도입 수요도 대폭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기업들도 이미 사내 업무에 AI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하는 모습이다. LG가 일찌감치 RPA 방식으로 AI를 활용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최근 자체 제작한 '가우스'를 단순 업무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SK디스커버리도 MS365 코파일럿 도입을 결정했다.
AI를 도입한 한 기업 관계자는 "아직은 익숙치 않지만 활용해본 직원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범용 AI에 대한 보안과 비용 우려는 여전, LG 엑사원 2.0과 삼성SDS 등은 개별 기업에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LG 엑사원 2.0이 하드웨어는 물론 학습 데이터까지도 선택할 수 있게 했으며, 삼성SDS 역시 다양한 생성형 AI를 고르는 '패브릭스' 서비스를 기반으로 브리티 코파일럿을 제공해 보안을 지키면서도 더 다양한 선택 사항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개별 서버를 구축하는 AI 서비스와 서버 시장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려운 만큼, 보안을 중시하는 업종에서는 완전히 자체 서비스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실제로 반도체 등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자체적으로 머신러닝을 개발해 시험 운영 중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빅테크 기업들이 고성능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기업별로 니즈가 다른데다가 보안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높다"며 "개별 기업에 최적화해 보안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AI 서비스가 틈새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인용 기기에서 '온디바이스AI'가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이유도 개인정보를 지키려는 목적이 크다. 개인 디바이스로 AI를 처리하면 개인 정보를 완벽하게 지키면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인텔이 '코어 울트라'로 PC 시장에 온디바이스AI를 시작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갤럭시S24를 출시하면서 IT 기기 전반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시장도 AI를 발판으로 크게 확대되는 분위기다. 지난해 서버를 중심으로 고가의 AI 가속기와 HBM 시장이 성장한데 이어, 올해에는 개인용 NPU와 차세대 인터페이스인 CXL, 완전히 개인화 설계되는 로직 반도체인 'ASIC'와 입맛에 따라 설계를 바꿀 수 있는 'FPGA' 까지도 주목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는 AI 학습을 위해 많은 반도체를 필요로 했다면, 올해에는 실제 사용자를 위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면서 시장도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