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소득·취업률' 좋은 의약대, 공대 등 몰려
2028학년도 대입개편엔 "쏠림 완화될 것" vs "이과 쏠림은 이제 대세"
서울의 한 대형서점에 비치된 고등학교 수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문제집[연합뉴스 자료사진] 2023.12.27 |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문송합니다'(문과라 죄송합니다)로 상징되는 인문계 졸업생들의 취업난은 이제 '문과의 몰락'을 불러오고 있다.
상위권 학생들이 모이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의 3학년 학급 가운데 70%가량이 자연계열 진학을 준비하는 '이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을 통해 '이과 쏠림'을 해소해보겠다고 나섰지만, 과연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31일 종로학원이 서울지역 자사고 가운데 학급편성 현황을 공개한 16개 학교의 현황을 분석했더니 166학급 가운데 113학급(68.1%)이 이과로 분류됐다. 문과는 53학급(31.9%)이었다.
지난해에도 이들 16개 학교 3학년 학급 가운데 이과는 68.6%였다.
전국단위 자사고의 경우 7개 학교 3학년 59학급 가운데 42학급(71.2%)이 이과로, 지난해(72.1%)와 비슷한 비율이었다.
지방의 지역단위 자사고 가운데는 이과 비율이 80%를 넘는 곳도 있었다.
이러한 '이과 쏠림'과 '문과 기피' 현상은 인문사회 계열 졸업생들의 취업난과 달리, 의약학 계열과 공대 졸업생들은 미래 소득과 취업률 등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2022학년도부터 수능 수학영역이 '공통+선택과목' 체제로 바뀌고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가 고착한 것도 수험생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떨어지면 원점수 만점자가 받는 표준점수(표준점수 최고점)는 높아진다.
이과 수학으로 불리는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문과 수학으로 불리는 '확률과 통계'보다 항상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치러진 2024학년도 수능의 경우 미적분 표준점수 최고점(148점)이 확률과 통계(137점)보다 11점이나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확률과 통계 응시생은 모든 문제를 다 맞아도 미적분 만점자보다 11점 낮은 표준점수를 받는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성적 상위권 학생들은 이미 중학교 때부터 사실상 진로를 '이과'로 정하는 실정이다.
대학입시제도 개편 확정안 발표하는 이주호 부총리 |
이런 상황이 문제로 지적되자 정부는 올해 중학교 2학년 학생들부터 적용받을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안에서 모든 응시영역을 공통과목 체제로 바꾸기로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기존 수능 체제는 개인의 흥미나 적성이 아니라, 입시에 유리한 과목 위주로 선택을 유도하는 불공정이 컸다"며 "2028수능은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공통으로 가르치는 핵심과목을 출제하고 모든 학생이 동등한 조건에서 시험을 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입개편으로 '이과 쏠림'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반론도 제기된다.
문과생과 이과생이 같은 수학 시험을 보게 된다면 수학 실력이 상대적으로 좋은 이과생들이 성적 상위권을 차지하게 되고, 결국 이과생들에게 유리한 구도는 유지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출제 범위가 좁아진 만큼 변별력을 위해 수능 난도가 되레 상승하는 '불수능'이 될 경우 수학의 영향력은 오히려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이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를 내세웠던 올해 수능에서 벌어진 일이다.
대형 입시학원 관계자는 "예전처럼 문과 1등과 이과 1등을 따로 뽑는 방향으로는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수학 머리'가 대입을 좌우하는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라며 "수학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은 아무래도 최상위권 입시에서는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cind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