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28일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했다. 태영건설은 내년까지 총 3조6000억원에 달하는 우발채무 만기를 앞두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태영건설이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 신청함에 따라 은행권 뿐만 아니라 수천억원에 달하는 부동산 관련 대출을 내준 2금융권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보험업권 대출만 2000억원이 넘는다. 다만, 대부분 선순위나 보증 계약이 돼 있어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PF(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을 비롯한 태영건설에 빌려준 보험사 대출금 규모는 올해 3분기 기준 2362억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화생명이 84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NH농협손해보험 333억원, 흥국생명과 IBK연금보험 각각 268억원, 한화손해보험과 푸본현대생명도 각각 250억원씩 대출이 있다. NH농협생명은 148억원을 빌려줬다.
이 외에도 2금융권에서는 상호금융인 신협중앙회가 397억원, 용인중앙새마을금고 359억원, 성남중앙새마을금고가 334억원, 애큐온저축은행이 50억원을 대출했다. 카드·캐피탈사 등 여신전문업계의 직접 대출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금융권에선 보험사가 태영건설에 빌려준 자금이 가장 많았다. PF를 포함한 보험사의 건설업·부동산·임대업 관련 대출은 최근 주춤하고 있지만 전 금융권에서 적지 않은 규모를 유지해 왔었다.
특히, PF대출은 3분기말 기준 43조3000억원으로 같은기간 은행권 44조2000억원에 이어 두번째로 많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44조3000억원으로 은행보다 많았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대출에 대한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그나마 업계가 잔액 규모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사들은 그동안 부동산 관련 대출을 대체투자의 하나로 삼으며 늘리는 경향이 있었다. 보험사들은 소비자들로부터 보험료를 받아 여러 경로의 투자를 한다. PF역시 그 일환으로 부동산 호황기일때는 좋은 투자처가 됐지만 이후 시장이 침체되면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의견이다.
다만, 보험업계는 이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으로 받는 직접적인 피해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대부분 선순위이며, 보증 계약 역시 확실히 체결된 내용들이 대부분이라는 의견이다.
실제로 대출금액이 가장 많은 한화생명과 268억원의 흥국생명은 관련 부동산이 완공돼 임대율이 100%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원금도 100% 보증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또 한화손보와 농협손보도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이 원금을 보증하고, NH농협생명의 대출은 선순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영건설을 시작으로 다른 건설사의 어려움과 2차 보증을 통한 PF대출 리스크가 남아 있어 안심할 수는 없다. 2금융권 한 관계자는 "태영건설의 주거래 은행이 전체 금융업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산업은행이라는 점도 예의 주시 중"이라며 "금융당국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김세관 기자 s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