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오는 29일 선보일 예정인 인파관리지원시스템. [사진 행정안전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 A 주무관은 지난달 4일 ‘부산불꽃축제’에서 시민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행정안전부(행안부)가 만든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을 활용했다.
모니터를 주시하던 A 주무관은 이날 오후 4시 10분경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일부 구역에 인파가 몰리고 있음을 알리는 ‘주의’ 메시지가 뜨자 경보 상황을 전파하고 현장에 있는 경찰관·소방관에게 연락했다. 인파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같은 날 오후 5시 35분경 ‘심각’ 위험 경보가 울리자 그는 현장을 차단하고 인파를 다른 지역으로 우회하도록 조치했다.
행안부 인파관리지원지스템 서비스 개시
마포구청이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 일대에서 인공지능(AI) 인파관리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마포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안부는 27일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을 오는 29일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행안부는 이 시스템을 지난 10월 27일부터 지난 15일까지 부산 등 전국 30곳에서 시범 서비스하며 시스템 운영 안정성 등을 점검했다.
행안부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은 휴대전화 신호 등으로 유동인구 수를 파악해 밀집도를 분석하고, 위험을 감지하면 소방·경찰에 전달한다. 2022년 10월 발생한 이태원 참사가 시스템 도입의 계기였다. 행안부는 지난 5월 통신사가 기지국 접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재난안전법을 개정했다.
행안부 시스템의 특징은 이동통신사 기지국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전화 사용자 수를 추정해 인파 밀집 정도를 파악한다는 점이다. 여기에 공간정보시스템(GIS)을 접목해 공간 특성을 기반으로 인구 밀집도·혼잡도 등 위험도를 산출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지도상에서 열 분포 형태의 색상으로 표현한 ‘히트맵(heat map)’ 방식으로 시각화했다.
서울시가 송파구에 적용한 인파감지 CCTV 화면. [사진 서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시스템은 기지국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폐쇄회로(CC)TV 등 별도 장비가 필요 없다. 행안부 관계자는 “추가 장비가 필요 없어 장비 설치비 등 예산을 절감할 수 있고, 사각지대도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서울시가 지난 10월 도입한 ‘지능형 인파 감지 시스템’은 CCTV를 통해 ㎡당 인원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다. CCTV가 24시간 촬영한 거리 영상을 관할 구청 CCTV 관제센터로 실시간 전송하면, 관제센터에 있는 인파 밀집도 영상 분석 서버가 자동으로 인파를 분석한다. ▶핼러윈데이 코앞, 인파관리 시스템 논란
기지국·공간정보 활용해 위험도 산출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연말연시 인파관리 대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안부가 개발한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은 전국 자치단체에서 활용할 수 있다. 시범 서비스를 통해 인파관리시스템을 경험한 A 주무관은 “부산불꽃축제를 방문한 인파의 밀접도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고, 위험 경보 단계에 따라 즉각 조치할 수 있었다”며 “부산 해맞이 축제, 감천문화마을 골목 축제 등 부산에서 진행하는 각종 축제나 젊음의거리·대학로 등 인파가 밀집하는 골목에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향후 전국 중점관리지역 100곳을 대상으로 인파관리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향후 지자체 의견을 수렴하거나 시의성을 고려해 중점관리지역을 변경·추가할 수 있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다중이 운집하는 장소에서 인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이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이번 시스템 구축을 기반으로 현장 재난 안전 관리 역량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