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준 MS 아시아 모던 워크 시니어 스페셜리스트 인터뷰
업무 맥락·흐름 파악해 '초개인화 AI비서' 역할
'코파일럿 스튜디오'로 현업 직원도 쉽게 활용
이승준 MS 아시아 모던 워크 시니어 스페셜리스트가 서울 광화문 한국MS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 중 발언하는 모습(사진=한국마이크로소프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코파일럿으로 하루 업무 시간이 30분 가량 절감됐다고 얘기한다. 하루에 겨우 30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초기 단계에서도 즉각적 생산성 개선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이승준 MS 아시아 모던 워크 시니어 스페셜리스트는 최근 이데일리와 만나 “MS의 가장 큰 비전은 지구 상의 모든 사람과 조직들이 더 많은 것을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라며 “코파일럿은 사람들이 시간을 절약하고,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굴해낼 수 있도록 돕는 ‘부조종사’ 역할을 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 스페셜리스트는 18년간 인공지능(AI) 업계에 몸담아온 인물이다. MS 합류 전부터 PWC와 KPMG에서 AI 프로젝트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해 왔다. 현재 그는 3개 타임 존으로 구성된 MS 글로벌 세일즈 조직 중 아시아 소속이다. 한국, 중국, 동남아시아 고객들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돕고 있다.
글로벌 AI 시장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MS는 업무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핵심은 생성형 AI 기반 도구 ‘코파일럿’과 코파일럿 스튜디오다. 전 세계 모두가 ‘초개인화 AI 비서’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다.
한국어 지원은 아직이다. MS는 내년 중 두 서비스에 대한 한국어 지원 기능을 추가하고,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다.
코파일럿은 모든 업무 과정을 자동화·효율화하는 점이 특징이다. 사용자 이메일과 일정, 채팅, 문서, 작업 내역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보고서나 통계, PPT 자료를 맞춤형으로 자동 생성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방대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엑셀 시트에서 분기별 실적 추정치와 요약본을 AI가 자동으로 추출해주고,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한 뒤 PPT로 자동 전환하는 등 업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코파일럿 스튜디오’ 또한 미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핵심 도구다.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서다. 이는 일반 사업부에 속한 현업 직원들이 자신들의 업무와 데이터에 최적화된 코파일럿을 자체 구축해 활용하도록 구성돼 있다. 각자 필요한 데이터를 연동해 ‘초개인화’된 AI를 쓸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 스페셜리스트는 코파일럿이 사용자의 업무 맥락과 흐름을 학습해 ‘초개인화 AI 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점이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사용자 요청이나 질문에 일반적인 답변만 내놓는 것이 아니라 △이메일 △협업툴 ‘팀즈’ △캘린더 등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사용자 접근 권한 등을 학습해 개개인별로 특화된 결과물을 도출해서다.
그는 “누구와 이메일을 주고받았고, 캘린더에는 어떤 일정이 기록돼 있는지, 전반적인 권한은 어떻게 되는지 등 사용자의 일하는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한다”며 “단순히 거대언어모델(LLM)이 웹이나 기타 정보에 기반해 일반적 언어로 답을 내놓는 반면, 실제 업무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답변을 주는 부분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코파일럿이 제공하는 효과는 더 커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지난달 1일 출시 이후 몇 개월이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시간 절감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도 중요하지만, 결과물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시간은 적게 들이면서 완성도가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어 “1년 후에는 시간 절감 효과와 완성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며 “비단 소프트웨어(SW)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가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도를 줄이고 자동화 수준을 높이는 부분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