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이창용 "물가 목표수준까지 '마지막 걸음' 쉽지 않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

더팩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선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 상승률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마지막 걸음(last mile)은 지금까지보다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앞으로도 금리 인상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목표 수준을 크게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긴장을 늦추기는 아직 이르다"고 판단했다.

이어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향후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고 노동비용도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유럽중앙은행(ECB)이 최근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을 반영해 물가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도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는 점도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더팩트

한국은행은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선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유가가 다시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면 수요측 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공급충격의 영향도 점차 줄어들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가며 완만한 속도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연간(1~11월) 기준 3.6% 상승하며 목표수준(2%)을 웃돌지만, 지난해(5.1%)에 비해서는 크게 둔화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말 이후의 완만한 둔화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한은은 올해 하반기 중 물가 상승률은 농산물과 석유류가 상방요인으로 작용하며 상반기에 비해 0.4%포인트 높였다고 분석했다. 석유류 제외 공업제품, 서비스 등은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1.1%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반인의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유가와 농산물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10~11월 중에는 소폭 높아졌지만 추세적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물가 여건으로 국제유가는 글로벌 수요둔화 우려와 비OPEC(석유수출국기구) 산유국 증산 등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OPEC+의 감산 지속, 중동지역 지정학적 불안 등은 상방리스크로 잠재한 것으로 분석했다.

민간소비 등 내수에서의 물가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고용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해 민간소비는 점차 개선되지만 통화긴축의 영향으로 회복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정부정책 측면에서는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점진적 인상, 유류세 인하 폭 축소 등이 내년 중 물가 둔화 흐름을 다소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단기적으로 크게 올랐던 유가·농산물가격이 하락하면서 11월 중 상당폭 둔화됐지만 앞으로도 이처럼 빠른 하락이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며 "12월 중에는 전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낮아진 후 추세적으로 둔화하며 내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으로 근접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향후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며 "국내외 수요부진 심화, 유가 하락 등의 하방리스크와 중동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따른 유가 재급등,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강화, 기상이변 등의 상방리스크가 혼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