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엔데믹 영향으로 비전문 취업(E-9)과 유학생이 늘어 국내 취업한 외국인이 92만 3천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절반 이상은 30대 이하였습니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절반가량은 월급이 200만 원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과 법무부는 오늘(18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올해 5월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15세 이상)은 143만 명으로 전년보다 12만 9천 명(9.9%)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취업자는 8만 명(9.5%) 늘어난 92만 3천 명이었습니다.
외국인 수와 외국인 취업자 수 모두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였습니다.
증가 폭도 가장 컸습니다.
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엔데믹 상태에서 비전문 취업과 유학생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유학생이 늘면서 고용률은 64.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연령대별로 30대가 전년보다 3만 명 늘어난 30만 8천 명으로 전체의 33.3%를 차지했습니다.
15∼29세도 4만 1천 명 증가한 21만 4천 명으로 23.2%였습니다.
30대 이하가 취업자의 55.5%를 차지하는 셈입니다.
40대와 50대의 비중은 각각 18.5%, 15.7%로 뒤를 이었습니다.
국적별로 취업자는 한국계 중국인이 35.3%로 가장 많았습니다.
베트남(11.3%), 중국(4.9%) 순으로 뒤를 이었고 기타 아시아 국가도 39.8%를 차지해 전체 아시아 지역이 90% 이상에 달했습니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44.6%), 도소매·숙박·음식(18.4%), 사업·개인·공공서비스(15.5%) 순이었습니다.
외국인 임금 근로자는 87만 3천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94.5% 수준입니다.
임금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 원 미만이 44만 2천 명으로 50.6%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300만 원 이상이 31만 3천 명(35.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100만∼200만 원 미만과 100만 원 미만은 각각 9.9%, 3.7%를 차지했습니다.
임금근로자 중 이직 희망자는 12.3%로 나타났습니다.
이직 희망 사유로는 낮은 임금(39.2%)이 가장 많았고 '일이 힘들거나 위험함'을 꼽은 비율도 19.4%였습니다.
국내에 상주하는 최근 5년 이내 귀화허가자는 5만 1천 명으로 전년보다 1천 명(2.5%) 감소했습니다.
이들 중 취업자는 3만 4천 명으로 전년과 동일했습니다.
외국인 10명 중 3명은 지난 1년간 소득이 없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외국인 중 1년간 월평균 총소득인 200만∼300만 원 미만은 32.8%, 300만 원 이상은 24.4%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소득이 없었다는 외국인은 29.8%로 2년 전 조사보다 3.9%p 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국인은 총소득의 39.4%를 생활비로 썼습니다.
이어 국내외송금(23.2%), 저축(15.7%), 주거비(11.8%)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주거 형태를 살펴보면 59.2%가 전월세를 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기 집에 사는 경우는 15.2%를 차지했고 기숙사, 주거 외 거처, 비닐하우스 등에 사는 '무상' 형태는 25.6%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간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외국인은 13.5%로 직전 조사와 유사했습니다.
유형별(복수응답)로는 '병원비가 부담돼 진료받지 못함'(35.0%)이 가장 많았습니다.
'공과금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못한 적이 있음'(27.3%), '본인 또는 가족의 학비 마련이 어려웠음'(22.0%)이 뒤를 이었습니다.
구직 경험이 있는 외국인 비중은 68.0%로 집계됐습니다.
구직 시 경험한 어려움으로 '일자리 정보가 부족해서'(21.9%)를 꼽은 외국인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다음으로 '한국어를 잘 못해서'(15.1%), '가까운 지역 내 찾는 일자리가 없어서'(6.6%) 순이었습니다.
체류자격이 유학생인 외국인은 18만 8천 명으로 전년보다 2만 5천명(14.1%) 증가했습니다.
국적별로는 베트남(38.3%), 중국(27.7%) 우즈베키스탄(6.4%) 순이었습니다.
연령대별로 15∼24세가 12만 9천 명으로 68.8%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25∼29세(22.4%), 30세 이상(8.9%)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으로 유학을 온 이유로 '교육 과정이 우수해서'를 꼽은 비율이 30.0%로 가장 많았습니다.
한국에서 전공이 관심 분야와 잘 맞아서(21.9%), 한국 학위가 취직에 도움이 돼서(10.6%)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에서 공부하는 주전공은 사회과학·언론·정보학·경영·행정·법(28.8%)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학(19.6%), 교육·예술·인문학(17.2%) 등의 순이었습니다.
(사진=통계청 자료 발췌,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