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전면 등교하자 서울 학교폭력 10년 만에 최대(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해 경험' 2.2%…서울교육청 온라인 조사 이후 최대

가해 응답률 0.5%→0.9%로 늘어…언어폭력 가장 많아

뉴스1

경기 화성시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지난달 10일 아이들이 두꺼운 외투를 입고 등교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남해인 기자 = 올해 서울 초·중·고 학생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피해를 당했다는 응답률이 최근 10년 사이 최대치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전면등교을 실시하자 학교폭력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4월10일부터 5월10일까지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이 2.2%로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2.0%를 기록한 지난해보다 0.2% 포인트(p) 증가했다.

이는 서울시교육청이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한 2014년(1.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으로 실시됐던 2013년의 2.2%와 동일한 피해 응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2학기부터 응답 시점까지 학교폭력 피해·가해·목격 경험을 온라인으로 묻는 이 조사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60만7653명이 참여했다. 전체 조사 대상의 80.1%가 응답했다.

서울 피해 응답률은 전날 교육부가 발표한 전북 제외 16개 시·도 교육청의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산출해낸 피해 응답률인 1.9%보다 0.3%p 높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4.6%로 가장 높고, 중학교 1.6%, 고등학교 0.4% 순이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피해 응답률은 1년 전보다 각 0.7%, 0.1% 늘었다. 초등학교는 동일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폭력 피해가 늘어난 이유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끝나고 대면수업이 재개되면서 학생들 간 교류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해 대다수 학교들이 등교를 제한한 2020년에는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역대 가장 낮은 수준(1.1%)을 나타냈다.

이후 대면 수업이 부활하자 피해 응답률이 2022년 2%로 상승했고, 올해 2.2%로 상승해 코로나19 전인 2019년(2%)보다 높았다.

학교폭력 피해유형별로 보면 '언어폭력'이 37.7%로 가장 많았다. 2위인 '신체폭력'도 18.1%에 달했다.

집단 따돌림(15.3%), 강요(7.1%), 사이버폭력(6.7%) 등이 뒤를 이었다.

초·중·고 모두 언어폭력 비중이 높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언어폭력 다음으로 '집단 따돌림' 비중이 높았다.

학교폭력 가해 응답률은 0.9%로, 지난해(0.5%)보다 늘었다.

가해자 유형은 '같은 반 학생'이 46.1%로 가장 많았다. 다른 반이지만 같은 학년인 학생은 32.7%, 다른 학년 학생은 6.8%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장소는 '학교 안'이 68.8%, '학교 밖'이 27.3%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교실 안'이 29.4%로 가장 많았다.

피해 사실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한 경우는 93%였다. '보호자나 친척'에 알린 경우가 37.9%로 가장 많고, '학교 선생님'(29.5%)이 다음이었다.

피해 사실을 알리지 않은 '미신고' 경우도 7%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 경험이 있다는 학생 비율은 0.9%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0.4%p 높아졌다.

초등학교의 가해 응답률은 2%, 중학교는 0.6%, 고등학교는 0.1%로 조사됐다.

초등학교는 0.8%p, 중학교는 0.3%p 상승했고, 고등학교는 동일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적 있다는 학생 비율은 지난해보다 1%p 상승한 5.5%였다.

초등학교 9.3%, 중학교 5.8%, 고등학교 1.4%로 조사돼 각 0.6%포인트, 2.3%포인트, 0.5%포인트 높아졌다.

목격 후에 '피해받은 친구를 위로하고 도와줬다'는 응답은 35%를 기록했지만,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응답도 30%에 달했다. '신고하기'(17.6%)와 '가해학생 말리기'(16.5%)가 뒤를 이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경향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도 평화로운 학교를 만들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i_na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