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당 음식, 앞자리가 바뀐다
박경민 기자 |
12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8대 주요 외식 품목 중 김밥‧김치찌개 백반의 가격이 전월보다 또다시 올랐다. 서울 지역 김치찌개는 7923원으로, 8000원 돌파를 앞두게 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8개 외식품목 가격이 모두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6531원이었던 자장면은 1년 새 7069원으로 8.2%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외식물가 상승률은 4.8%를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3%)을 상회한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지난달까지 30개월 연속으로 전체 평균을 웃돌고 있다. 전체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3.7%)부터 3%대로 내려왔다. 이후 2~3%를 오르내리고 있다. 그러나 외식 물가의 경우 상승률 둔화 폭이 크지 않으면서 4%대 후반에 머물고 있다.
━
물가상승 39%는 개인서비스 영향
박경민 기자 |
지난달 외식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가격의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1.29%포인트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3%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플레이션의 3분의 1 이상은 외식 등 서비스 가격 오름세 때문이었다는 풀이가 나온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내려가면서 물가상승률을 0.25%포인트 끌어내리지 않았다면 전체 소비자물가는 3%대 후반으로 오를 수 있었다.
━
한 번 오르면 안 떨어지는 메뉴 가격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은 한 번 오르면 떨어지지 않는 하방 경직성이 강하다. 식당 가격을 한 번 올릴 때 메뉴판 등을 모두 바꾸다 보니 유지하거나 올릴 수는 있어도 내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국제유가나 수급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휘발유‧경유 가격이나 농·축·수산물과는 차이가 크다. 예컨대 지난달 국산 쇠고기 가격은 3.6%, 돼지고기 가격은 2.4% 하락했는데 식당에서 판매하는 쇠고기 물가는 2.3%, 돼지갈비는 4.1% 올랐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외식 등 서비스요금은 재룟값이나 공공요금, 인건비 상승 등 물가 상승의 영향을 마지막에 받다 보니 가격 오름세가 장기화하는 특징이 있다”며 “가격이 한 번 오르면 떨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6일 서울 명동 식당가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인건비·공공요금 부담 커져
공공요금과 인건비가 모두 오르는 등 식재료 외에 부대비용이 증가한 것도 외식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외식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음식점의 연평균 영업비용은 1억8405만원이다. 이 중에서 식재료비를 제외한 임차료·인건비 등 부대비용이 58.1%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고용인 인건비가 2848만원으로 전년도(2461만원)보다 15.7% 더 들어갔고, 공과금 비용은 같은 기간 1094만원에서 1278만원으로 16.8% 늘었다. 국제에너지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억눌러온 전기·가스요금이 지난해 2분기부터 급격히 오른 영향 등이 반영됐다.
━
“고금리 내수 부진이 영향”
고금리 장기화로 내수가 부진하면서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가격 인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자영업자의 금리 부담이 커진 게 간접적으로 가격 인상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뭣보다 각종 비용이 오른 상황에서 민간소비까지 둔화하면서 가격 인상을 통해서라도 손실을 만회하려는 목적이 크다. 이게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순 있지만 당장 버티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