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27 (토)

“아이 키울 돈으로 내게 투자”… 맞벌이, 외벌이보다 자녀 덜 낳아 [뉴스 투데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신혼부부 103만쌍 최저

무자녀 비중 46% 역대 최고

“경쟁 구도·가족 효용성 상실 원인

정책 지원·인구 담론 형성 필요”

“지금 둘만의 생활에 만족한다. 괜히 골치 아픈 일을 만들고 싶지 않다.”

이제 결혼 2년차에 접어든 회사원 박모(36)씨의 얘기다. 그는 ‘딩크족’(맞벌이 무자녀 부부)이다. 아이를 딱히 좋아하지도 않고, 무엇보다도 양육의 어려움을 감당할 자신이 없다. 아이 돌보기부터 유치원 등록, 소아과 줄서기 등 주변의 경험담들은 박씨가 출산을 기피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하다. 게다가 자영업을 하는 박씨의 아내도 출산 시 자신의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이미 혼인 전부터 아이를 갖지 말자고 그와 합의했다. 박씨는 “우리 부부는 아이보다는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년 줄어들던 신혼부부 규모가 지난해에는 100만쌍의 문턱에 다다랐다. 신혼부부조차 자녀를 낳지 않는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의 비혼, 출산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접근 외에도 가족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시민사회의 인구담론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는 103만2000쌍으로 1년 전(110만1000쌍)보다 6만9000쌍(6.3%) 감소했다. 신혼부부는 지난해 11월 기준, 혼인신고한 지 5년 이내이며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부부를 가리킨다.

세계일보

서울 마포구 아현동 웨딩거리 한 웨딩드레스 판매점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결혼도 안 하고 아이도 안 낳는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147만2000쌍에 달했던 신혼부부는 2016년 143만7000쌍, 2018년 132만2000쌍, 2020년 118만4000쌍 등으로 매년 줄고 있다. 급기야 지난해에는 100만쌍 언저리까지 쪼그라들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100만쌍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17개 시·도 모든 곳에서 신혼부부가 줄었다. 혼인신고한 지역별 비중을 보면 경기가 29.9%(30만8634쌍)를 차지해 신혼부부 수가 가장 많았다. 서울은 17.8%(18만4804쌍), 인천은 6.1%(6만2844쌍)였다. 신혼부부의 과반이 수도권에서 살림을 차린 셈이다.

세계일보

신혼부부 중 초혼이 81만5000쌍(79.0%)이었고, 재혼은 21만4000쌍(20.7%)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46.4%로 전년(45.8%)보다 0.6%포인트 증가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평균 자녀 수도 0.01명 줄어든 0.6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혼부부의 맞벌이 여부가 자녀 유무 및 자녀 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 가운데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보다 9.6%포인트 낮았다. 평균 자녀 수도 맞벌이 부부가 0.59명으로 외벌이 부부(0.73명)보다 0.14명 적었다. 혼인 3년차부터 유자녀 비중이 무자녀 비중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일보

맞벌이 비중은 2021년 54.9%에서 지난해 57.2%로 2.3%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신혼부부의 소득 증가로 이어졌다.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6400만원)보다 6.1% 늘었다. 맞벌이 부부의 소득은 8433만원으로, 외벌이(4994만원)보다 약 1.7배 많았다.

신혼부부의 빚은 더 늘었다.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89.0%로 전년(89.1%)과 비슷했다. 대출잔액 중앙값(1억6417만원)은 전년(1억5300만원)보다 7.3% 증가해 소득의 2.4배에 달했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 비중은 40.5%로 전년 대비 1.5%포인트 하락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요새 인구 통계를 보면 맞벌이 부부들 중에서 극단적으로 아이를 안 낳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트렌드가 보인다”며 “하지만 이를 단순히 경제적 이유를 원인으로 해석하는 것은 오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청년들이 비혼주의자 및 딩크족이 되는 것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사회에 팽배한 ‘경쟁’과 ‘가족의 효용 상실’ 등 사회 분위기의 영향이 크다”며 “정부가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가족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시민사회의 인구 담론 형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