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총선 이모저모

5·18 묘지서 고개 숙인 조국, 총선 행보 시작하나…방명록엔 “5·18 정신 생각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민주묘지 방명록에 “스스로 돌아보고 한 걸음 내딛겠다”

세계일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5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무명열사의 묘비를 어루만지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서 북콘서트에서 ‘돌 하나를 들겠다’며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의 작지 않은 역할을 예고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5·18 묘지에서 고개를 숙이면서 이틀 연속 총선 행보의 시작으로 보이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조 전 장관은 5일 오전 9시쯤 광주 북구 운정동에 있는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았다. 추모탑 앞에서 묵념한 후 묘역으로 걸음을 옮긴 조 전 장관은 5·18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50여일 옥중 단식 농성을 벌이다 숨진 고(故) 박관현 열사와 무명열사 묘소를 참배했다.

조 전 장관은 참배에 앞서서는 방명록에 ‘5·18 정신을 생각하며 스스로를 돌아보고 한 걸음을 내딛겠다’며 ‘고히(고이) 잠드소서’라고 적었다. 그의 민주묘지 참배는 2019년 5월 열린 정부 주도 5·18 기념식에 참석 이후 4년 만이다.

거듭 총선 출마설이 제기되는 만큼 이날의 민주묘지 방문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올 것을 생각한 듯, 조 전 장관은 자신의 참배에 정치적 의미 부여는 삼가달라면서 마음을 추스르고 정리하고자 개인 자격으로 왔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5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방명록에 ‘5·18 정신을 생각하며 스스로를 돌아보고 한 걸음을 내딛겠습니다. 고히 잠드소서’라고 적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조 전 장관은 지난 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저서 ‘디케의 눈물’ 북콘서트에서 신당 창당과 총선 관련 출마 질문에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돌 하나는 들어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다”고 말해 내년 총선 출마 의사를 드러냈다는 해석을 일부에서 낳았다.

이와 함께 ‘대한검(檢)국’에서의 ‘신검(검찰)부’ 독재가 종식되어야 한다면서 민생의 추락을 막아야 한다고도 조 전 장관은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받는 재판을 ‘족쇄’로 표현하고는 “지금 터널의 거의 끝까지 온 것 같은데 아직 나오지는 못했지만 기다려 달라”는 메시지도 남겼다.

무엇보다 현장에서 조 전 장관이 “진보 진영의 본진이고 항공모함”이라며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 주목됐다. 우리나라의 민주화와 선진화를 이루는 정치 본질이 민주당이라면서, “그 점은 변화가 없고 분투하신 노력에 대해 존경의 마음을 갖고 있다”고도 그는 강조했다.

세계일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 4일 오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북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민주당 일부에서는 조 전 장관의 이 같은 애정표시를 은근히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5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한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조국 전 장관이 광주 지역에서 뭔가 움직여야 될 것 같다는 의사를 표현한 듯하다’는 취지 진행자 말에 “조국 전 장관은 민주당원은 아니었고, 지금도 아니다”라며 “민주당원으로서의 역할을 제가 부과해드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조응천 의원은 올해 6월 라디오에서 ‘민주당에 조금이라도 애정이 있다면 출마는 접는 게 좋다’며 대놓고 말했고, 같은 당 이원욱 의원은 조 전 장관이 총선에 나선다면 민주당이 다시 ‘조국의 늪’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로 내홍 겪는 민주당에 조 전 장관의 총선 출마가 추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경계다.

당 대표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은 지난달 YTN 라디오에서 가족 전체가 도륙을 당했다며 명예회복 방법으로 내년 총선을 우회 언급한 조 전 장관을 향해 “정치와 국회의원 출마가 명예회복의 수단은 아닌 것 같다”며 지적했고, 정청래 최고위원도 KBS 라디오에서 “잘 모르겠다”며 “본인도 정확한 판단을 한 것 같지는 않은데 조금 지켜볼 일”이라고 말을 아꼈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