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라잉 총사령관, 문민정부 5년 만에 무너뜨리고 권력 차지
쿠데타 이후 정치범 4000여명 숨져…흘라잉 일가는 이권 독식
국경 장악한 반군세력…중국 움직임이 변수
2021년 쿠데타를 일으킨 다음 날 회의를 주재하는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쿠데타를 주도한 인물은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 이날 미얀마군은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모든 권력이 흘라잉에게 이양됐다고 밝혔다. 흘라잉은 최고사령관에 총리와 국가행정위원회 위원장까지 겸직하며 미얀마의 권력을 거머쥐었다. 애초 군은 1년 후 비상사태를 종료하고 민간에 정권을 이양하겠다고 했지만 4차례 비상사태를 연장하며 지금까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미얀마 민주화를 부르짖는 목소리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에 따르면 2021년 쿠데타 이후 체포·구금된 정치범은 30일 2만5484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4209명은 목숨을 잃었다. 미얀마군은 민주화 시위대를 진압하며 젖먹이 아기에게까지 총구를 들이대고 있다.
2010년 최고사령관에 취임할 당시 흘라잉(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화운동·소수민족 탄압하며 권력 부상
흘라잉이 권좌에 오르는 과정은 미얀마의 험난한 현대사를 보여준다. 랑군인문사회대학교(현 양곤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그는 1974년 삼수 끝에 국방사관학교에 입학했다. 당시에도 미얀마 대학가에선 민주화 운동이 한참이었지만 흘라잉은 학생운동과 거리를 뒀다. 군문에 들어선 후 그는 한동안 두각을 드러내지 않았다. 흘라잉의 사관학교 동기는 “그는 뛰어난 생도가 아니었다. 의욕이 넘치지도 게으르지도 않았다”며 “그는 천천히 때가 되면 승진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군에서 그는 우유부단하고 완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흘라잉의 운명이 바뀌는 건 2008년 북동부 국경 경비를 책임지는 제2 특수작전국 사령관을 맡으면서다. 당시 에너지 가격 인상에서 촉발된 성난 민심은 군부 통치에 대한 분노로 번졌다. ‘샤프론 혁명’이라고 불리는 이 같은 시위에 맞서 흘라잉은 유혈진압을 주도했다. 미얀마 사회의 성역이라고 불리는 불교 승려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듬해엔 소수민족 반군에 대한 대공세를 지휘했다. 이 과정에서 살인과 강간 등 전쟁범죄가 기승을 부렸고 3만명이 넘는 난민이 고향을 잃었다. 미국 평화연구소의 제이슨 타워는 “민 아웅 흘라잉은 수십년 동안 국가에 엄청난 폭력을 가하고 해악을 끼친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활동으로 흘라잉은 당시 미얀마를 통치하던 총리 겸 최고사령관 탄 슈웨 눈에 들었다. 2010년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된 흘라잉은 1년 후엔 최고사령관 자리를 물려받았다. 2010년 단계적 민정 이양이 실시됐지만 50년 동안 미얀마를 지배한 군부의 대표자로서 흘라잉은 무시할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아랍의 봄’(2010년 튀니지·리비아 등에서 시작된 아랍권의 민주화 바람)을 목격한 흘라잉도 민주화 흐름을 무리하게 거스르지 않았다.
2021년 태국 방콕에서 미얀마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흘라인의 사진을 태우고 있다(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흘라잉, 미얀마를 천민국가로 되돌려놨다”
2015년 총선을 통해 2016년 미얀마에서 54년 만에 문민정부가 다시 출범했다. 2010년 총선은 수키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가 불참한 반쪽짜리 선거였다면 2015년 선거에선 NLD가 상·하원 민선의원의 78%를 배출했다.(상·하원 의석의 각각 25%는 관선의원으로 최고사령관, 즉 흘라잉에게 임명권이 있었다)
흘라잉과 수치는 일종의 연정 파트너로서 한동안 협력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훌라잉은 수치의 등 뒤에서 소수민족 로힝야에 대한 인종청소를 주도했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당시 로힝야족 수천명이 숨지고 74만명이 넘는 난민이 방글라데시로 피란했다. 두 사람은 수치가 관선의원 축소를 위한 헌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사이가 멀어졌다. 두 사람 다 권위적이고 자존심이 세 화합이 어려웠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2016년 전역할 예정이던 흘라잉이 임기를 5년 연장한 것을 두고 “(쿠데타를 암시하는) 불길한 징조였다”고 평가했다.
흘라잉과 수치 갈등은 2020년 총선을 두고 마침내 폭발했다. 당시 선거에서 NLD는 상·하원 민선의원의 79%를 차지하는 압승을 거둔다. NLD가 추진하던 개헉 작업에 탄력이 붙을 참이었다. 흘라잉을 비롯한 군부는 NLD가 부정선거로 승리했다고 제동을 걸었다. 으름장이 먹히지 않자 군부는 결국 쿠데타를 단행했다.
쿠데타 이후 미얀마 사회는 다시 뒷걸음질쳤다. 군부가 민주화 요구를 짓밟는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국제사회 제재로 경제는 망가졌다. 그런 와중에도 흘라잉 일가는 건설과 통신, 관광 등 미얀마의 주요 산업을 지배하며 부를 불렸다. 타워는 “흘라잉은 지난 10년간의 개혁을 후퇴시키고 수백만명을 빈곤으로 내몰았으며 수천명의 죽음과 수십만명의 난민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타임지도 흘라잉을 ‘2023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으로 선정하며 “미얀마를 천민국가로 되돌려놨다”고 혹평했다.
미얀마 북부의 소수민족 반군.(사진=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죽지세 반군, 흘라잉과 군부 ‘최대 위기’
무서울 게 없어 보였던 흘라잉과 미얀마 군부는 최근 위기를 맞았다. 지난 10월 말부터 소수민족 반군이 국경지대를 중심으로 맹공을 퍼붓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얀마민족민주동맹군(중국계 소수민족), 타앙민족해방군(타앙족), 아라칸군(라카인족)은 이른바 삼형제동맹을 결성하고 군부 타도에 나섰다. 수치를 따르던 이들이 만든 민족통합정부와 시민방위군도 이들의 공세에 힘을 보태고 있다.
반군은 현재 8000㎢가 넘는 지역을 장악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앙에서 파견한 진압군도 반군에 잇달아 투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곤이나 네피도, 만달레이 등 주요 도시는 아직 군부 통제 하에 있지만 돈줄 역할을 하던 국경지대가 반군에게 넘어간 건 아픈 부분이다. 미국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의 리처드 홀시는 “미얀마 군부가 수십년 동안 전장에서 겪은 난관 중 가장 어려운 순간”이라고 AP통신에 평가했다.
흘라잉과 군부도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 흘라잉은 지난달 공개석상에서 “군은 테러 행위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흘라잉이 옹립한 대통령 권한대행인 민 슈웨도 “국경 지역서 일어나는 일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나라가 여러 개로 쪼개질 것”이라고 했다. 홀시는 “미얀마 정권이 전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초토화 전술과 무차별 포격·공습 등 잔인한 행위를 배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변수는 중국이다. 흘라잉은 쿠데타 이후 서방국가와의 관계가 사실상 단절되자 중국과 관계를 개선하는 데 공을 들여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선 중-미얀마 국경지대의 범죄조직을 소탕하는 데 협조해달라는 중국 정부 요청에 미얀마 군부가 소극적으로 굴면서 사이가 멀어졌다. 반면 반군 세력은 중국의 범죄 소탕 작전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최근 양곤 등 미얀마 대도시에선 반중시위가 벌어지고 있는데 여기엔 중국에 대한 군부의 불편한 심리가 개입된 것으로 보인다.
홀시는 “중국이 (군부와 반군 간) 휴전을 원하면 그것을 이루거나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다”며 “그렇지 않는 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왕윈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주 브리핑에서 “중국은 시종일관 미얀마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지지해왔다”고 밝혔다.
흘라잉은 그는 2021년 외국 외교관과 만난 자리에서 “죽는 날까지 나라를 위해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얀마의 봄은 찾아올 수 있을까.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