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美 소비 폭발하는데…'고물가·고금리'에 신음하는 韓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월 유통업계 대규모 할인행사 속 미국 온라인 소비가 폭발한 반면 우리나라의 민간소비는 부진의 늪에서 허우적댄다. 고금리·고물가 여파다. 수출이 간신히 '플러스(+)' 전환했지만 소비 부진이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우려가 커진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비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했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소비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다.

실제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비지출을 뜯어보면 △의류·신발(-11.6%) △가정용품·가사서비스(-10.9%) △기타상품·서비스(-4.7%) △음식·숙박(-3.1%) △주류·담배(-1.9%) 등 실질소비지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뒷걸음질쳤다.

그럼에도 전체 실질소비지출이 증가한 건 해외여행 수요 폭증으로 오락·문화 실질소비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8% 급증한 영향이다. 주거·수도·광열도 같은 기간 3.1% 늘며 주거비 지출 부담도 늘었다. 실제 내수로 이어지는 소비는 부진의 늪에 있다는 얘기다.

소비 부진은 고물가와 고금리 영향이다. 소득은 제자리걸음하는 상황에서 갚아야 할 이자 부담은 늘고 물가마저 고공행진하자 소비자들이 쇼핑 등을 위해 지갑을 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2021년 9월 2.4%에서 10월 3.2%로 뛴 후 올해 5월까지 단 한 번도 3%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 지난 6월(2.7%)과 7월(2.3%) 반짝 2% 물가를 기록했지만 8월부터 다시 3%대로 올랐고 상승폭도 3개월째 확대됐다. 11월 물가 상승률이 3.5~3.6% 안팎으로 소폭 내릴 전망이지만 여전히 2%대 물가는 먼 상황이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부담도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3분기 가구당 이자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4.2% 증가했다.

머니투데이



이에 소비심리도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2로 전월(98.1)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7월(103.2)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다. 3개월 연속 지수 수준이 100을 하회하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특히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요소 중 소비지출전망지수는 10월보다 2포인트 하락(113→111)해 하락폭이 가장 컸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지출전망지수의 경우 높은 물가 수준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로 외식비, 여행비, 교양·오락·문화비 중심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KDI(한국개발연구원)도 지난해 4.1%였던 민간소비 증가율이 올해 1.9%로 낮아지고 내년에는 1.8%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상황을 고려해 정부가 내수 부양책을 마련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다음달 말쯤 발표 예정인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도 관련 대책이 담길 수 있다는 의미다.

다만 건전재정을 내세우고 있는 정부가 지출을 조이는 상황이라 '돈 풀기 없는 내수 부양책' 효과에 대한 의문부호가 뒤따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정부가 재정지출을 묶어놓은 상황에서 효과가 뚜렷한 내수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통화정책을 통해 금리를 낮추는 게 소비 회복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