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 경비군인 3명이 군사분계선(MDL) 북쪽에 있는 판문각을 나와 근무지로 이동하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근무하는 북한군이 권총을 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19 남북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한 데 이어 JSA 비무장화 합의도 폐기한 것이다.
28일 복수의 한미 군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주 후반부터 JSA 북측 경비요원들은 권총을 차고 근무 중이다. 반면 우리 쪽 JSA 경비요원들은 아직 비무장을 유지하고 있다.
JSA를 담당하는 유엔군사령부는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응 조치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이 JSA에서 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우리 쪽도 재무장이 나설 가능성도 있다.
남북은 2018년 10월 25일부로 JSA 남북지역 초소, 병력, 화기를 모두 철수했다. JSA 내 북측 초소 5곳, 우리측 초소 4곳이 각각 철수했고 양측 병력과 권총, 소총(AK-47·K-2), 탄약 등의 화기도 JSA 밖으로 옮겼다.
앞서 북한은 우리 정부가 군사 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지난 22일 9·19 군사합의 중 ‘비행금지구역 설정’(제1조 3항)의 효력을 정지하자 곧바로 이튿날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어 지난 24일부터 9·19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 있는 북한군 갱도형 해안포의 개문 사례도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에 따르면 평소 북한군의 해안포 개문은 1~2개소 정도였는데, 최근에는 10개소 이상으로 늘었다.
진지 세우고 초소 복원하고 - 북한군이 지난 24일 비무장지대(DMZ) 내 동부전선 최전방 군사초소(GP)에 무반동 기관총과 고사총 등 중화기를 반입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북한군이 목재로 구조물을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하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귀국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부터 9·19 남북 군사합의 일부 효력 정지 조치 이후 북한 동향 등 안보 상황 관련 보고를 받은 뒤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 대비 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조치들을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도 “북한은 9·19 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고, 11월 24일부터 일부 복원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며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활동을 예의주시하면서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어떤 대응조치를 검토하느냐’는 취지의 기자의 질문에 “필요한 조치들을 차근차근 시행해 나갈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최재헌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