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이준석 "대구 의원 반 이상 물갈이될지도…창당 늦어질 순 없어"(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당 빨라질 수는 있지만…늦추면 선택할 길이 줄어들어"

연합뉴스

활짝 웃는 이준석
(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우리의 고민' 토크 콘서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3.11.26 psik@yna.co.kr



(대구=연합뉴스) 박세진 기자 =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는 26일 대구를 찾아 "12명의 대구 국회의원 중에서 반수 이상이 (내년 총선에서) 물갈이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대구 엑스코에서 자신이 모집한 '지지자 연락망' 참석자 모임을 갖기 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 총선 관련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최근 김재원 전 최고위원이 '이준석 전 대표가 대구에서 가장 약한 후보 상대로 출마할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 "대구에 물갈이가 대규모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누가 약한지 판단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재원 전 최고위원이 그렇게 살아오셨기 때문에 남들도 그렇게 할 거라고 생각하는 거 같다"고 맞받았다.

그는 "신당을 창당하고 대구에 출마한다면 절대 혼자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충분한 사람들과 대화하고 있고 공감의 뜻을 밝힌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 후보로 대구에 나올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당 시기에 대해 그는 "그저께만 해도 복수의 우리 당 의원들에게 전화가 와서 12월 27일보다 더 기다렸다가 판단해주면 안 되냐고 말을 했다"며 "그 이상 늦추면 저도 선택할 길이 줄어들게 된다고 답했다. 빨라질 수는 있지만 늦어질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에서) 통상적인 상황이라면 파격적일 제안도 있었다"며 "작금의 상황이 보수 정당의 심각한 위기이기 때문에 (현재 기준) 통상적인 제안이나 의견은 단호하게 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대구서 지지자들 만난 이준석
(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우리의 고민' 토크 콘서트에서 허은아 국회의원,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 이기인 경기도의원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3.11.26 psik@yna.co.kr



대구 민심이 호의적이지 않다는 질문에 그는 "대구에서 하는 도전이 어려운 도전이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며 "실제 상황이 벌어지면 어떻게 극복할지 구체적인 계획이 있지만 영업비밀"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총선 출마설이 제기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해서는 "대구에 출마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했다.

같은 날 엑스코에서 '임영웅 콘서트'가 열리면서 이 전 대표 측이 세를 늘리기 위해 이를 의도했다는 주장에 그는 "그런 논란을 아무리 만들어서 이준석을 때려봤자 당의 위기가 사라지는 게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본 행사에서 그는 TK(대구·경북) 의원들을 겨냥해 "제가 대구에 들락거리다 보니 대구가 많이 바뀌는 거 같다"며 "몇 주 새 고관대작을 지내는 분들이 대구를 드나들고 대구 이야기를 많이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구의 미래를 바꾸는 것은 정권 창출에 많은 표를 기여했다고 갖는 허영심 섞인 주인의식이 아니다"며 "오히려 왜 바라던 정권교체를 이뤘는데 대구의 현실은 나아지지 못했냐는 문제의식"이라고 했다.

그는 "막연하게 대구를 칭송하지는 않겠다. 대구의 변화가 대한민국 정치의 변화에 소중하기 때문"이라며 "이 길이 외로울 것이라, 어려울 것이라 생각해서 가보고 싶다"고 밝혔다.

이날 이 전 대표의 대구 방문에는 측근 '천아용인'(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 허은아 국회의원, 김용태 전 최고위원, 이기인 경기도의원)이 동행했다.

psjps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