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치솟는 생활물가에 서민 ‘비명’… 정부, 28개 품목 상시 점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가관리 전담자 지정 등 총력전

버스 등 운송 물가 16년 만에 최고

우유값은 14년래 가장 많이 올라

서민 체감도 높은 민감 품목 집중

가공식품 사무관급 전담 두기로

생산업체와 소통… 정책 협조 주문

전문가들, 인위적 통제에 회의적

“용량·질 낮추는 꼼수 인상 우려”

서민들의 삶이 짓눌리고 있다. 지난달 지하철·버스·택시 요금을 아우르는 운송서비스 물가상승률은 16년여 만에,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4년여 만에 각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모든 생활 물가가 ‘비상’이다. 정부는 이른바 ‘빵 서기관’ 등 이명박정부의 ‘물가관리 책임실명제’를 벤치마킹 중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기업의 ‘꼼수 인상’만 부추길 거라며 정부 대처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세계일보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운송장비·개인운송장비 운영·운송서비스로 구성된 교통 물가지수는 지난달 117.48(2020년=100)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올해 1월(2.9%)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하철·버스·택시·항공 요금 등의 운송서비스 물가의 경우 9.1% 오르며 전체 교통 물가를 견인했다. 이는 2007년 4월(9.3%) 이후 16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하철 요금인 도시철도료가 9.2% 오르면서 철도 여객수송 물가가 6.3% 올랐다. 2016년 6월 8.6% 오른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시내버스료(11.3%), 시외버스료(10.2%), 택시요금(20.0%)이 포함된 도로 여객수송 물가도 13.8% 올랐다. 올해 서울의 택시 기본요금은 4800원으로 기존보다 1000원 인상됐으며, 교통카드 기준 시내버스요금은 1500원, 지하철요금은 1400원으로 각각 300원, 150원 인상됐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른 것은 교통만이 아니다. 생필품인 먹거리 또한 올해 이례적으로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대표적 가공식품인 우유의 경우 14.3%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의 최고치다. 아울러 설탕은 17.4%, 아이스크림은 15.2%, 커피는 11.3% 각각 올랐다. 빵 물가도 5.5% 올랐다.

올해 이상 저온으로 사과(72.4%), 생강(65.4%) 등 일부 농축산물 가격도 급등해 시민들의 물가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중동 불안으로 인한 국제유가 강세 등의 변수까지 더해지며 물가 변동 불확실성은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는 시민 체감도가 높아 기존에 관리 중이던 19개 품목에다 9개 품목을 추가해 총 28개 민감 품목의 가격을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배추·사과·달걀·쌀 등 농축산물 14개 품목, 햄버거·피자·치킨 등 외식 메뉴 5개 품목, 우유·빵·라면·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9개 품목이다. 특히 이번에 상시 점검 대상이 된 가공식품 9개 품목은 사무관급이 ‘물가 관리 전담자’로 지정됐다. 이들은 관련 품목 생산 업체, 소비자단체와 소통하며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이처럼 전격적으로 물가 안정에 나서자 업계는 정부의 눈치를 보며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중이다. 최근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당분간 생크림 등의 제품값을 올리지 않겠다고 발표했고, 앞서 기업들도 라면, 빵 등의 가격을 잇달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품목별 물가 관리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다. 오히려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용량을 줄이거나 질을 낮추는 ‘슈링크플레이션’ 방식의 ‘꼼수 인상’을 부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석병훈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이처럼 인위적인 가격 통제를 하게 되면 기업은 이윤을 지키기 위해 슈링크플레이션 혹은 제재가 풀린 후 가격을 높은 폭으로 올리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며 “이는 오히려 고금리·고물가 상황을 장기화시키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