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與 혁신위 '비례대표 당선권 청년 50% 의무' 권고... 중진·지도부 희생 압박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9일 '3호 혁신안' 발표
우세 지역구 '청년 전략지역구' 지정 등 골자
'영남 용퇴·험지출마론' 연장선상으로 해석
한국일보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 혁신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9일 내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당선권에 청년을 50% 의무 배치하고 특정 우세 지역구는 청년 후보만 공천 신청이 가능한 '전략 지역구'로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3호 혁신안을 발표했다. 앞서 권고 형태로 전달된 '당 지도부·중진·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들의 불출마·험지 출마'도 향후 의결 가능성을 시사하며 신속한 거취 결정을 재차 압박했다.

최안나 혁신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혁신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미래세대를 생각했을 때 세대교체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청년층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을 건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의결 사항은 ①비례대표 당선권 순번 청년 50% 의무화 ②당 우세 지역구 '청년 전략지역구' 선정 및 공개 오디션 후보 선발 ③전 정부 기구 및 지자체 위원회 대상 청년위원 일정 비율 참여 의무화 및 확대 등 3가지다. 혁신위가 밝힌 '청년'은 국민의힘 당헌·당규 기준에 따라 '만 45세 미만의 당원'을 의미한다.

김경진 혁신위원은 "만 45세 미만 청년 유권자가 전체의 대략 37, 38%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전체 국회의원 중 청년은 단 4% 남짓에 불과하다"며 "'어떻게 청년을 정치 현장으로 데려올 수 있을까', 이 부분이 고민의 시작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비례대표 후보 '당선권 순번'이나 '우세 지역구'의 명확한 기준은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우세 지역구는 전통적으로 보수 지지세가 강한 영남이나 서울 강남 3구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읽힌다. 혁신위가 앞서 제시한 '영남 중진 용퇴론', '하위 평가 20% 공천 배제'와도 맞닿아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 혁신위원은 당내 반발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은 총선기획단과 공천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부분"이라면서도 "큰 틀의 대의는 청년들이 현실정치에서 목소리를 낼 길을 터주자는 것이고, 당내 소소한 반발·이견은 혁신 과정 속에서 극복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도부·윤핵관' 희생 재차 강조... '용산 참모 특혜 방지' 시사도


이날 혁신위는 '당 지도부·중진·윤핵관' 등 주요 인사의 불출마·험지 출마 요구도 재차 강조했다. 김 혁신위원은 "다양한 경로로 '마음 먹고 결심할 시간이 필요하니 시간적 여유를 주면 당내 희생과 혁신의 흐름 속에서 도움이 되겠다'는 전언이 여럿 있었다"며 "추후 시기를 정해 당에 '권고 안건'으로 정식 제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혁신위의 희생 권고에도 오히려 5선의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갑)은 전날 "대구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면 대구에서 마치는 것"이라고 밝히는 등 별다른 호응이 없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는 '대통령실 참모 전략공천' 방지를 위한 안건을 논의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김 혁신위원은 "대통령실에서 내려오는 사람들에 대한 우선적 공천 배려 등 특혜는 절대 없을 것"이라며 "그 부분도 혁신위에서 안건으로 논의돼 어느 시점에는 최고위로 접수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나광현 기자 nam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