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에 우호적 변수…효과는 과거보다 약할 듯"
노동길·이재림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보고서에서 "정책 효과는 차별적으로 나타났다"며 "공매도 금지의 주식시장 영향력을 결정한 변수는 펀더멘탈"이라고 밝혔다.
과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금지된 경우는 2008년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기간 총 세 차례였는데, 당시 정부는 주가 하락과 변동성 확대에 대응한 시장안정 조치로 공매도 전면 금지를 실시했다.
해당 기간 주가지수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2008년에는 공매도 금지 후 한달 간 코스피가 20% 이상 하락한 반면, 2011년과 2020년은 한 달간 코스피가 0.6%와 3.1% 상승했다.
이처럼 차별화된 결과는 공매도 금지 이후 증시 반응이 공매도 금지 자체가 아니라 해당 시기 펀더멘털에 따라 좌우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들은 지적했다.
코스피 코스닥 급등 |
노 연구원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큰 폭의 경기침체를 겪었고 침체 기간은 18개월가량 지속됐다"며 "공매도 금지는 펀더멘탈 약화 구간에서 지수 방향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2011년과 2020년은 깊은 경기침체를 수반하지 않았다"며 "위험 해소 과정에서 공매도 금지에 따른 수급 효과는 극대화됐고 공매도 금지가 펀더멘털 개선을 동반할 경우 단기적으로 주식시장 하방을 지지했다"고 분석했다.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이번 공매도 금지 조치는 수급 측면에서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노 연구원은 "경기는 2008년 수준의 깊은 침체 가능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공매도 제한 조치는 시장 금리 상승 및 유가 공급 측 상승 요인 확대에 따라 이중고를 겪었던 국내 주식시장에 우호적 변수"라고 말했다.
과거 공매도 금지 후 주가지수 추이 |
그러나 공매도 금지는 중장기 관점에서 선물 대비 현물(주식)의 상대적 고평가를 수반하기 때문에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차익거래로 개인투자자에 대한 증시의 수급 의존도를 높인다고 지적했다.
노 연구원은 "문제는 현재 유동성 환경이 개인투자자 자금 유입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데 있다"며 "개인 수급 강도는 코로나19 당시보다 약화할 공산이 커 공매도 전면 금지 효과는 수급 측면에서 과거와 같은 파괴력을 보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어 "공매도 잔고는 큰 반면 수익률 상승 폭이 비교적 작았던 종목군으로 투자 대상을 좁혀서 대응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abullapi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