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지났지만 우리 사회엔 아직 풀지 못한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유가족이 요구하는 진상 규명부터 추모 공간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앞으로 결론지어야 할 문제가 많습니다.
박서경 기자가 남은 과제들을 짚어 봤습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지난 2월,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꾸렸습니다.
[고 김용건 씨 유가족 : 분향소 오면 나도 모르게 웃게 되더라고요. 집에 있으면 너무 우울하고 맨날 눈물만 흘리게 되는데.]
이후 서울시는 1주기 추모대회를 위한 광장 사용을 한시적으로 허가했습니다.
하지만, 1주기 이후엔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오세훈/서울시장 (지난 16일) : 되도록이면 자진 철거를 유도할 생각입니다만 마냥 1년, 2년 있을 순 없지 않습니까.]
진상 규명도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국회 국정조사가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행정안전부가 원인조사를 미룬 뒤, 감사원은 최근 재난 안전관리체계 점검에 착수했습니다.
이태원 사고를 대상으로 특정하진 않았지만, 관련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많은데, 참사의 원인이나 책임소재 등에 대한 조사로까지 확장될지는 불투명합니다.
유가족들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 매듭짓기 위해 독립적인 진상 조사기구 설치와 추모 공간 설립 등의 내용이 담긴 이태원 특별법 통과를 거듭 호소하고 있습니다.
돌아오는 2주기에는 지금과는 달라져 있기를 유가족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양현철, 영상편집 : 윤태호)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지났지만 우리 사회엔 아직 풀지 못한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유가족이 요구하는 진상 규명부터 추모 공간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앞으로 결론지어야 할 문제가 많습니다.
박서경 기자가 남은 과제들을 짚어 봤습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지난 2월,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꾸렸습니다.
[고 김용건 씨 유가족 : 분향소 오면 나도 모르게 웃게 되더라고요. 집에 있으면 너무 우울하고 맨날 눈물만 흘리게 되는데.]
서울시는 광장 무단 점유라며 변상금 2900만 원을 부과했고, 갈등을 이어오다 지난 22일 유가족 측은 변상금을 모두 납부했습니다.
이후 서울시는 1주기 추모대회를 위한 광장 사용을 한시적으로 허가했습니다.
하지만, 1주기 이후엔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오세훈/서울시장 (지난 16일) : 되도록이면 자진 철거를 유도할 생각입니다만 마냥 1년, 2년 있을 순 없지 않습니까.]
유가족들은 따로 추모 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철거하지 못하겠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진상 규명도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국회 국정조사가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행정안전부가 원인조사를 미룬 뒤, 감사원은 최근 재난 안전관리체계 점검에 착수했습니다.
이태원 사고를 대상으로 특정하진 않았지만, 관련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많은데, 참사의 원인이나 책임소재 등에 대한 조사로까지 확장될지는 불투명합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유가족 : 왜 경찰 출동이 늦어졌나 그리고 사후에 (왜) 아이들을 지방으로 분산하고. 최소한 그것만큼이라도 좀 설명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유가족들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 매듭짓기 위해 독립적인 진상 조사기구 설치와 추모 공간 설립 등의 내용이 담긴 이태원 특별법 통과를 거듭 호소하고 있습니다.
돌아오는 2주기에는 지금과는 달라져 있기를 유가족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양현철, 영상편집 : 윤태호)
박서경 기자 ps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